총 13개
-
중세국어용비어천가2024.09.131. 중세국어의 특징 1.1. 음운 체계 1.1.1. 자음 체계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는 총 16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음 계열에는 'ㅂ, ㄷ, ㅈ, ㅅ, ㆁ, ㄱ, ㅎ'이 있었고, 경음 계열에는 'ㅃ, ㄸ, ㅉ, ㅆ'가 있었다. 또한 격음 계열에는 'ㅍ, ㅌ, ㅊ'이 있었다. 이 외에도 'ㄹ, ㅁ, ㅂ'의 유음 및 비음 자음이 존재하였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ㅸ'과 'ㅿ'이라는 독특한 자음들이 존재하였다. 'ㅸ'은 순경음 비읍(非읍)으로 발음되었고, 'ㅿ'은 ...2024.09.13
-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2024.10.291.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비 및 특성 1.1. 자음 체계 비교 1.1.1.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한국어의 자음은 총 19개인 반면, 일본어의 자음은 13개로 5개가 적다. 조음 위치 면에서 일본어에는 경구개음이 없어 한국어보다 하나 부족하다. 이로 인해 일본어권 화자들이 한국어의 경구개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조음 방법 면에서 일본어의 장애음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있지만, 한국어에는 이러한 유무성 대립이 없고 대신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이...2024.10.29
-
영어발음연습2024.10.161. 한국어 발음의 특징과 외국인 학습자의 어려움 1.1. 자음 체계에서의 발음 어려움 1.1.1.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문제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문제는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서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이 어렵다는 것이다. 영어에는 한국어의 된소리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권 학습자들은 된소리와 평음을 구분하여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가다"와 "까다"의 구별이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식의 차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발음 훈련이 필요하다."" 1.1.2. 중국어권 학습자...2024.10.16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및 교정 방안2024.10.091. 서론 학습자의 언어권에 따라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 시에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발음의 어려움을 자음별, 모음별, 초분절음별로 분류해 보는 것이 이 서론의 목적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국 언어 구조와 다른 문법적 특성이나, 발음 체계, 문화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유창한 발음을 위해서는 목표 언어의 자음체계와 모음체계, 초분절음소를 이해하고 이를 연습하여 실제 발화에 적용시켜야 한다. 한국어 발음을 교육할 때에도 이러한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된...2024.10.09
-
외국인 학습자 관점 한국어 발음 어려움 사례 분석2024.10.091. 서론 1.1. 한국어의 발음 특성 한국어의 발음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고유한 언어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다양한 도전과제를 제공한다. 특히 발음의 측면에서,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초분절음 체계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요소들이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이러한 음운 체계가 낯설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평음, 경음, 격음...2024.10.09
-
한국어 교원 과제2024.12.161.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1.1. 말하기 수업에서의 교사 역할 1.1.1. 관찰자로서의 역할과 평가자로서의 역할 관찰자로서의 역할과 평가자로서의 역할은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의 중요한 수행 역할이다. 먼저 교사는 관찰자로서 학습자 개개인의 출신 국가와 모국어의 특성, 학습 동기를 사전에 파악하고 교육 현장에서 적절한 과제 활동을 부여하여 학습자들의 발화 내용이나 빈번한 발화 오류를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관찰 결과 습관으로 굳어질 만한 발화 오류에 대해서는 원인 별로 분류하고, 교수 데이터로 축적시켜 지속적으로 교육 현...2024.12.16
-
수업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정리2024.11.151. 한국어 교재 분석 및 평가 1.1.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 1.1.1. 교재 분석의 필요성 교재 분석의 필요성은 교재를 연구하거나 선정하거나 개발하기 위한 과정적 행위로서, 교재 편찬자의 의도와 학습자의 요구 및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교재 분석과 평가를 통해 이상적인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준이 설정되고 적용되며, 교육현장에서 교재를 선택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장단점을 파악해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은 변용이나 보충 자료를 사용하여 최...2024.11.15
-
한국어 교재 분석과 평가 기준 및 사례2024.11.151. 서론 1.1. 교재의 중요성 교재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지원하면서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이다. 목적에 맞는 올바른 교재의 선택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 학습의 구조적인 안내를 받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의 기반을 다지고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문장 및 문화를 학습하며 전반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특히 외국어 학습에서 교재는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자 기본적인 지침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2024.11.15
-
중세국어의이해 자음2024.11.111.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 1.1.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 및 자료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고려 중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약 400년 동안으로, 10세기부터 14세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국어는 고대 한국어에서 현대 한국어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기 중세국어의 주요 문헌 자료로는 『계림유사(鷄林類事)』,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이중역(二重曆)』, 고려 가요, 『고려사(高麗史)』,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번역방통사(飜譯朴通事)』와 『훈몽자회(訓蒙字會)』, 그리고 불경 자료들이 있다...2024.11.11
-
영어권 학습자에 대한 효과적인 한국어발음 교육방안2024.11.261. 서론 1.1. 대조언어학의 중요성 대조언어학은 두 개 또는 이상의 언어에 대해 음운과 형태, 통사 등 언어 체계의 다양한 측면을 대조하여 대응 여부를 밝혀내는 언어 연구의 한 분야로, 두 언어의 다른 점을 찾아내 교육하는 방법을 택하면 외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언어는 다른 언어와의 비교나 대조를 통해서만 해당 언어의 객관적 특성을 조명할 수 있는데 이는 비교와 대조가 모든 학문의 기본 활동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비교는 대상의 차이점과 동일함을 알게 해줌으로써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