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해커스 한국어2024.10.061. 한국어 높임법 교수법 1.1. 주체높임법 1.1.1. 주체높임법이란? 주체높임법이란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것으로, 주로 선어말어미 '-시-'의 사용으로 실현된다. 또한 조사 '께서'의 사용이 동반되며, 일부 높임 어휘가 같이 사용된다. 주체 높임은 선어말어미 '-시-'가 대체로 어느 어간에나 자유롭게 결합하지만 일부 동사와 형용사는 형태적으로 다른 모습을 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어휘로는 '드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 계시다, 편찮으시다'가 있으며 '들다, 잡수다, 편찮다'와 같이 별도의 높임 어휘가 선어말어미 '-시-'와...2024.10.06
-
한국어 음운체계와 자음 학습방안, 듣기교육 변화 원인2024.11.151. 한국어 음운체계와 자음의 학습방안 1.1. 머리말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한국어의 음운체계를 이해하여 학습자가 한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알아 들을 수 있고, 스스로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적절한 음운 교육을 받지 않으면 어색한 발음이 고착화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교정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를 외국인에게 가르칠 때 가장 먼저 중심적으로 교육해야 할 부분이 바로 한국어의 음운체계이다. 1.2. 한국어의 음운체계 언어는 사람의 입을 통하여 나오는 말소리로 이루어진다. 이...2024.11.15
-
자음 모음 특징 설명 한국어 자음 모음 분류 기준 기술2025.03.131. 서론 한국어에서 자음과 모음의 분류는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다. 자음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기류가 방해를 받으며 만들어지는 소리이고, 모음은 그렇지 않은 소리이다. 자음은 음절의 핵을 이루지 못하지만 모음은 음절의 핵을 이룰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의 명칭은 조음에 중요한 변수인 음성적 특징에 기반하여 붙여진다. 자음의 경우 조음 방법, 조음 위치, 발성 유형이 주요한 변수이고, 모음의 경우 입술 모양과 혀의 전후, 혀의 높낮이가 주요한 변수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명칭은 각각의 변수들을...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