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격조사2024.11.111. 중세국어 특수조사(보조사) 연구 1.1. 서론 특수조사는 격조사와 함께 국어의 조사를 구성하며 보조사라고도 한다. 보조사는 격조사와는 달리 명사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부사나 용언의 활용형 등에도 결합하여 의미를 더한다. 보조사와 격조사의 분류, 혹은 세분 여부는 학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보조사의 종류와 의미 분류는 다양한데, 대조의 은/는, 단독의 만/뿐, 역시의 도, 시작/먼저의 부터, 미침의 까지, 추종의 조차 등이 있다. 중세국어의 보조사에 대한 연구는 허웅(1975)과 김진형(19...2024.11.11
-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발음 어려움 사례 분석2024.10.091. 서론 한국어는 고유한 언어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다양한 도전과제를 제공한다. 특히 발음의 측면에서,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초분절음 체계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요소들이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이러한 음운 체계가 낯설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평음, 경음, 격음의 세 가지 구별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2024.10.09
-
어요 해요 아요 레포트2024.10.091. 한국어 문장의 4가지 유형 1.1. 평서문 1.1.1. 평서문에서 쓰이는 종결어미의 특징 평서문에서 쓰이는 종결어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평서문은 "말하는 이가 어떠한 일에 관한 자기의 생각이나 내용을 듣는 이에게 객관적이고 평범하게 전달해주는 문장"을 의미한다. 평서문은 "-ㅂ습니다", "-아요/-어요", "-다", "-어/아" 등의 종결어미를 사용하여 끝맺으며, 마지막에 마침표 문장 부호를 붙인다. 평서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결어미는 다음과 같다. 1) "-다/-는다/-ㄴ다": 진술, 감탄, 의문의 의미로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