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9개
-
침치료2024.12.191. 사상의학에서의 수족냉증 치료 1.1. 사상의학의 관점에서 본 수족냉증 사상의학의 관점에서 볼 때, 수족냉증은 체질별로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소음인은 신대비소(腎大脾小)의 장부 편차로 몸이 차가우며 수족냉증이 많이 나타난다. 소음인의 설사는 주로 위수한리한병 태음증과 소음증의 범주이며, 태음증에서는 온위강음(溫胃降陰)하는 처방을, 소음증에서는 건비강음(健脾降陰)하는 처방을 사용한다. 또한 태양병궐음증(太陽病厥陰證)에서도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소양인의 수족냉증은 주로 비수한표한병의 망음증에서 나타나며, 청리열강표음(淸...2024.12.19
-
한의학침치료2024.12.191. 수족냉증의 진단과 치료 1.1. 개요 냉증은 의학적으로 '냉각과민증'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도 신체의 특정 부위가 차고 시려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냉증은 여성이 남성보다 3:2 정도로 많으며, 시기별로 보았을 때는 2-30대 가임 여성이 가장 많으나 사춘기, 갱년기에도 발생하고, 특히 산후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부위별로 보면 전신, 수족, 소복, 음부, 요부, 배부의 순으로 다발한다. 그 중, 수족냉증은 손발이 차게 느껴지는 증상으로 (1) 실제로 손과 발의 체온이 정상...2024.12.19
-
해부학 근육2024.09.101. 근육조직 1.1. 뼈대근육 1.1.1. 뼈대근육의 구조 뼈대근육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뼈대근육(골격근)은 사람 모의 뼈대계통 및 이와 연관된 구조에 부착하는 근육으로, 머리, 목, 몸통 및 팔다리를 이루는 근육이다. 또한 뼈대근육은 혀, 입천장, 인두, 후두 및 식도의 위부분과 같은 일부 내장기관에서도 관찰된다. 하나의 뼈대근육은 여러 개의 근육다발(근속, muscle fascicle)이 모여 형성된 것이며, 각 근육다발은 다시 여러 개의 근육세포[근세포, muscle cell; 근육섬유(근섬유), muscle fib...2024.09.10
-
생리학 문제2024.10.1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1.1. 음성되먹임 음성되먹임이란 내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이를 최소화시키려는 기전이다. 외부자극에 의해 내환경이 변화하면 이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체온조절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되먹임이 대표적인 예이다. 외부 온도가 올라가면 체온조절 중추가 이를 감지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혈관 확장, 땀 분비 등의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는 모두 외부 온도 상승에 따른 체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음성되먹임 과정이다. 이처럼 음성되먹임은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항상...2024.10.11
-
정신간호학 인지행동치료2025.01.311. 정신간호학 인지행동치료 1.1. 학습이론과 행동이론 1.1.1. 학습이론 학습이론은 새로운 행동의 획득이나 기존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학습은 새로운 행동 변화 과정에서 행동이나 경험을 수반한다. 행동주의 이론에 따르면 부적응적인 행동은 잘못된 학습을 통해 형성되며, 행동치료는 다양한 학습원리를 활용하여 이상행동을 수정한다. Wolpe의 이론은 행동이 관찰 가능하며 보상받아온 조건화 반응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Miller와 Dollard는 행동이 갈등을 이겨내는 방법과 연관된 불안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며, ...2025.01.31
-
뇌의 구조와 기능2024.08.281. 뇌의 구조와 기능 1.1. 전뇌 1.1.1. 피질 영역 대뇌피질은 대뇌반구의 표면에 해당하는 부위로,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정보처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대뇌피질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전두엽은 이마 쪽에 위치하며, 특히 중앙고랑 바로 앞쪽의 운동피질 영역에서는 자발적인 운동 명령이 시작된다. 전두엽의 다른 부위에서는 계획 수립, 판단, 추리 등의 고등 정신 기능이 수행된다. 전두엽이 손상되면 복잡한 사고와 계획 수립 능력이 저하되며, 인격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2024.08.28
-
교감신경계 활성화2025.01.251. 서론 인체의 신경계는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거나, 전달하고 통합하여 판단함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체계이다. 인간의 뇌에는 수억 개의 뉴런들이 복잡하게 조직화되어 정보 처리를 하고, 몸의 다른 부위로 정보들을 빠르게 전달하기 때문에 인간이 학습하고 기억하며, 명령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추신경계는 정보를 통합하거나 판단하는 역할을 하고, 말초신경계는 감각기관에서 받은 정보를 중추신경에 전달하거나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다른 기관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간의 몸은 자율적으...2025.01.25
-
자율신경에 작용하는 약물 작용기전, 임상용도,부작용2024.10.031. 약리학 개요 1.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크게 콜린성 효능약과 콜린성 길항약, 아드레날린성 효능약과 아드레날린성 길항약으로 나눌 수 있다. 콜린성 효능약은 아세틸콜린 분해를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카르바콜, 베타네콜과 같은 직접 작용 콜린성 효능약은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부교감신경 반응을 나타낸다. 네오스티그민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를 차단하여 신경 전달을 증강시킨다. 콜린성 효능약은 중증근무력증, 녹내장, 요...2024.10.03
-
자율신경계작용기전2024.10.031. 신경계 1.1. 중추신경계 1.1.1. 뇌 1.1.1.1. 대뇌 대뇌는 두개골 안에 있는 뇌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좌우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뇌는 표면의 겉질과 내부의 회색질과 백색질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부위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의 대표적인 기능은 기억, 언어, 감각, 운동, 및 생명유지에 필요한 각성,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생성, 항상성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뇌피질은 신경의 기본이며 운동기능의 중추이고 기억, 언어, 사고, 지능, 성격 등의 요소에 관...2024.10.03
-
생리학 문제2024.10.09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 조성 인체 내부 환경의 일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생명체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일정성 유지 기전을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한다. 항상성은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 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내부 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변화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부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기전이다. 대표적인 예로 체온 조절 과정을 들 수 있다. 체내 온도가 상승하면 발한 작용이 일어나 체온을 낮추는 반응이 나타나고, 체온이 하강하면 근육 수축을 통해 체...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