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우리나라 사회제도는 노직과 롤스의 정의론 중 어디에 더 가까운가2024.09.211. 정의의 존재와 실현의 차이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한국에서 정의(正義), 사회 양극화 등이 또다시 화두가 된 바 있다. 2011년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12년에는『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그리고 2014년에는 Thomas Piketty의 『21세기 자본』 역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관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정의라는 관념을 결부해 반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2024.09.21
-
우리 사회의 제도가 노직과 롤스의 정의론 중 어디에 더 근접한가2024.09.211.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 1.1. 정의의 사전적 정의와 철학적 의미 정의의 사전적 정의는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 바른 의의"이며, 철학적 의미로는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로서 플라톤의 철학에서 지혜, 용기, 절제의 완전한 조화를 이르는 용어이다. 즉, 정의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규범이자 윤리적 실천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2. 정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 1.2.1.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도덕적이고 옳은 행동이라...2024.09.21
-
철학과 인간가치 만점 감상문2024.11.031. 자유와 평등의 양립 가능성 1.1. 자유와 평등에 대한 관점 자유와 평등에 대한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째, 자유와 평등은 양립 불가능하다는 자유지상주의의 관점이다. 이들은 자유를 전적으로 중시하고 평등에 대해서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하이에크는 "경제 평등을 성취하려는 시도는 하나같이 강압적이고, 자유사회를 파괴하게 마련이다"라고 말하며, 개인에게 능력 발휘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출발점의 조건이 평등하려면 개인들의 활동하는 외적인 환경을 의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데 이것이 자유의 이념에 반...2024.11.03
-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생각해본 대한민국의 정의2024.10.191. 정의란 무엇인가 1.1. 정의의 개념 정의의 개념이란 무엇일까? 정의에 대한 정의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정의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자 도덕적 판단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정의는 단순히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실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마이클 샌델은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공리주의, 자유지상주의, 칸트의 철학, 존 롤스의 평등사상 등이 대표적이다. 공리주의는 개인의 행복을 수치화하여 합산하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2024.10.19
-
윤리와 사상2024.12.271. 윤리사상가의 정의론 1.1. 롤스의 정의론 1.1.1. 롤스의 생애 및 주요 저작 롤스의 생애 및 주요 저작이다. 롤스는 20세기의 윤리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20세기 중반까지 유행했던 언어적, 개념적 분석에 치중하는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 지형에 『공정으로서의 정의(1958)』와 『정의론(1971)』이라는 걸출한 정치철학 저작을 발표하면서 윤리학과 정치철학에서의 규범적 논의를 부활시킨 일등공신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롤스가 정의론을 발표한 이후 로널드 드워킨 등 자유주의 법철학자들도 주목을 받게...2024.12.27
-
롤스 노직 정의론2024.08.271. 서론 1.1. 정의에 대한 문제 제기 정의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 제기는 인류의 오랜 주제로서 많은 철학과 정치사상을 탄생시켜 사회 구조의 기반을 이루었다. 정의란 좁은 의미에서는 법의 내용으로 한정될 것이며 넓은 의미에서는 공정성과 연관된다. 특히 정의는 여타 가치들의 획득 방법과 조정에 있어서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제시하여 준다는 측면에서 가장 일차적이고도 중심적인 가치로 간주된다. 정의의 개념에 대해서는 각 사상가들마다 상이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존 롤스와 로버트 노직은 현대 정의론 논의에 크게 기여하였다...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