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런던시청 친환경 건축 사례2024.09.121. 미래디자인융합센터 1.1. 건축 개요 미래디자인융합센터의 건축 개요를 살펴보면, 건물의 공사명은 "미래디자인 융합센터"이고,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1110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의 용도는 문화 및 집회시설이며, 건축면적은 3,576.87㎡, 대지면적은 182,506㎡, 연면적은 6,311.13㎡의 규모이다.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조이고, 지하 1층, 지상 2층, 높이 15.02m의 규모로 지어졌다. 외부마감은 노출콘크리트와 24mm 복층유리, 내부마감은 벽 지정도장, 바닥 화이트에폭시 라이닝, 천장 질석계뿜칠로 ...2024.09.12
-
커튼월 사례2024.10.281. 커튼월 개요 1.1. 커튼월의 정의 건물 상부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커튼월 자체의 자중만을 받으며 구조적으로 독립적인 외벽을 총칭하는 장막벽 혹은 비내력벽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커튼월의 자중은 해당 층의 슬라브나 기둥을 통하여 메인 건축구조물로 전달되며, 공기나 물의 침투, 건물에 작용하는 풍압, 지진, 그 자체의 하중에 대응하며 유기적으로 거동하도록 디자인 된다. 1.2. 커튼월공법의 유래 전단 벽과 건물 핵심부의 구조 개념의 발달과 함께 건물의 외벽은 더 이상 높은 자중을 지지해야할 필요가 없어졌고, ...2024.10.28
-
패시브설계기법2024.10.151. 친환경 건축과 패시브 건축의 이해 1.1. 친환경 건축의 도입 배경 친환경 건축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 부하를 최소화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시키는 건축개념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건축의 발전과 도입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부문의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세계 주요 에너지 소비국들은 에너지 효율성 관련 계획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환경문제가 점점 심각해질 것이라는 경향이 확산되어 에너지...2024.10.15
-
패시브설계기법2024.10.151. 패시브 건축의 개념과 특징 1.1. 패시브 건축의 개념 패시브 디자인이란 에너지 사용에 수동적인(passive) 개념의 건축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는 기계설비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끌어들이는 액티브 디자인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패시브 디자인은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자 자연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며, 냉난방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도 채광, 환기, 단열 등 건축적 요소를 통해 쾌적한 내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패시브 건축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에너지 사용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개념이다...2024.10.15
-
작업환경관리 출석2024.10.171. 작업환경관리 1.1. 전체환기 1.1.1. 자연환기 자연환기는 공기의 이동이 자연적인 압력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체환기 방법이다. 자연환기는 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불어넣어 오염물질을 희석시키는 방식으로,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나 바람 등 자연적인 힘에 의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연환기 방식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높고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환기 방식에 비해 소음이 적고 유해물질 배출에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외부 기후 조건에 따라 ...2024.10.17
-
자연채광이 적용된 건축물의 본인 생각2025.02.031. 서론 1.1. 자연채광의 개념과 중요성 자연채광이란 태양광을 건물 내부로 유입하여 실내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건축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에너지 절감은 물론 실내 쾌적성 향상에 기여한다. 자연채광은 건물의 설계 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하며, 건물의 형태, 배치, 창호 등 다양한 요소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적절한 자연채광 설계는 실내 조도 유지와 냉난방 부하 저감을 통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연채광은 거주자의 심리적 안정과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므로,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데 핵심...2025.02.03
-
패시브 설계2024.09.051. 패시브 건축 개요 1.1. 친환경 건축의 도입 배경 친환경 건축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 부하를 최소화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시키는 건축개념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건축의 발전과 도입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부문의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세계 주요 에너지 소비국들은 에너지 효율성 관련 계획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환경문제가 점점 심각해 질 것이라는 경향이 확산되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2024.09.05
-
건축설비 요약2025.02.131. 자연환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및 관련 논문 요약 1.1. 자연환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 현대인들은 하루 일과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므로, 실내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최근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내 공간은 더욱 밀폐되고, 복합화학물질로 구성된 건축 자재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각종 실내 환경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실내 오염물질은 실외 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이 약 천 배 높으며, 미국환경청(EPA)은 이를 가장 시급히 처리해야 할 환경문제 중 하나라고 발표하였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