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크라센의 5가지 가설의 개념과 특성2024.10.041. 외국어 습득과 크라센의 이론 1.1. 언어습득의 의미 언어습득이란 학습자가 어느 나라에서 태어나면서 부모로부터 얻어지는 모국어를 제1언어라고 하며, 이는 의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언어가 습득되어지는 과정이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나 유학생이 한국생활을 하면서 일상의 의사소통으로 습득되어지는 경우, 또는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 한국인 교포가 사회생활을 하고 학교를 다님으로써 어떠한 노력이 개입되지 않아도 영어가 습득되어지는 경우를 제2언어라고 지칭한다. 즉, 습득은 의도하지 않고 교육을 받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얻지는 것이고...2024.10.04
-
크라센 5대 가설2024.11.241. 크라센과 제2언어 습득이론 1.1. 크라센의 소개 스티븐 D. 크라센(Stephen D. Krashen)은 1994년 언어학과에서 교육학부로 이사한 남부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명예교수이다. 그는 언어학자, 교육 연구원 및 정치 운동가로 알려져 있다."" 1.2. 모니터이론의 등장 배경 크라센의 모니터이론은 1970년대에 발표된 형태소의 습득순서에 관한 연구와 테스크의 차이에 의해 습득순서의 결과가 다르다는 연구에 흥미를 가지면서 등장했다. 크라센은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주목하여 제2언어의 기본적인 생각으로 5개의 가설을 제시하였...2024.11.24
-
크라센의 모니터 가설의 개념 및 내용2024.08.291. 크라센의 5대 가설 1.1. 습득과 학습 가설 1.1.1. 습득과 학습의 개념 언어습득은 주로 제1언어 발달에서 이루어지며, 직관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사회적인 접촉과정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저절로 언어가 습득된다. 이는 실제적 의사소통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언어형식이나 체계의 학습보다는 의사소통적인 활동에 초점을 두게 된다. 반면, 언어학습은 의식적인 과정을 통하여 규칙을 획득하고, 전통적인 문법교수법을 통하여 목표언어를 획득하는 형태이다. 즉, 언어발화의 동인은 습득한 체계에서 유발되며, 학습한 체계는 발화하기 전이나 발화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