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재적 발전론의 연원과 대두
1.1. 식민사학의 등장과 배경
식민사학은 19세기를 전후하여 일제의 조선 침략 과정과 함께 정립되었다. 식민사학은 일제의 조선 침략 및 합방을 합리화하기 위한 도구로 출발하였으며, 합방 이후에는 식민지 조선의 동화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기능이 확대되었다.
일제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식민사학자들은 다양한 이론을 전개하였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이다.
타율성론은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한민족의 주체적 역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국·몽골·만주 및...
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