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심폐소생술 시나리오2024.11.101. 응급처치 시나리오 1.1.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은 생명을 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호사는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는 즉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처치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의 의식과 호흡을 확인한다. 환자의 의식이 없고 호흡이 없으면 심정지로 판단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경동맥을 촉진하여 맥박을 확인하고,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번갈아 실시한다. 가슴압박은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강하고 규칙적으로 실시하며, 압박 깊이는 약 5cm...2024.11.10
-
응급실 심폐소생술2024.11.251.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1.1. CPR의 정의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된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응급적으로 가해지는 처치이다. 심장이나 호흡이 멈추게 되면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4-5분 이내에 회복 불가능한 뇌손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신속한 심폐소생술 시행이 매우 중요하다. 심정지 후 적어도 3-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하며, 6분이 경과하면 사망단계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2024.11.25
-
Cpcr2025.06.12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및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심정지 후 4-6분부터 뇌손상이 시작되므로 심정지 발생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적용되어야 소생의 성공률이 높아진다. 1.2. 심정지 발생의 주요 원인 심정지 발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심장 관련 요인으로는 심근경색증, 관상동맥류 등에 의한 혈액순환 저하가 있다. 또한 패혈증 쇼크, 심장성 쇼크 등의 쇼크상태와 심낭압전, 심...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