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아동자립2024.10.0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아동복지법 제 2조(기본이념)에 따르면 아동은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행복하게 자라날 권리가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의 부재, 가정불화, 경제적 빈곤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부모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아동양육시설에서 자라는 아동, 청소년 등이 있다. 부모의 보살핌아래 자라나는 안정적인 가정환경의 아이들과 달리 아동양육시설의 아동과 청소년들은 공동체 생활을 하며 규칙에 따라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아동과 청소년들은 아동복지법 제16조(보호대상아...2024.10.02
-
보호종료아동2024.10.021. 보호대상아동의 현황 및 보호조치 1.1. 보호대상아동의 정의 및 보호유형 아동복지법에 의하면 '보호대상아동'이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을 말한다"이다. 우리나라는 아동복지법 제15조 제①항 제2조부터 5조에 의해 보호대상아동에게 보호조치를 실시하는데, 이는 총 다섯 가지 가정 외 보호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아동보호치료시설, 입양이 그...2024.10.02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프로그램2024.10.261. 보호 종료 청소년의 자립지원 현황과 과제 1.1. 보호 종료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 보호 종료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아동복지법에 따르면 아동복지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연령이 18세에 달하였거나, 보호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인정될 때에는 해당 시설의 장은 입소의 조치를 취한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의 승인을 얻어 그 보호 중인 아동을 퇴소시켜야 한다. 다만 대학교에 입학하거나 일정한 사유가 있는 경우 2년까지 보호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렇게 보호가 종료되는 청소년들을 "보호 종료 청소년"이라 칭한다. ...2024.10.26
-
공동생활가정2025.01.231. 공동생활가정 운영 1.1. 사업목적 공동생활가정(그룹홈)은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청소년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를 제공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아동청소년 시설이다. 공동생활가정의 설립 목적은 가정해체, 빈곤, 학대 등으로 사회적 보살핌이 필요한 아동·청소년을 위한 아동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며,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그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청소년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환경과 보호를 제공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