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생활속의 안전2024.10.201. 화재 안전 대피 요령 1.1. 화재 발생 시 기본 대피 요령 불이 나면 누구든지 당황하고 공포감에 쌓이게 되며 때로는 흥분하여 평상시보다 판단력이 떨어져 우왕좌왕 하다가 연기에 질식되거나, 높은 데서 뛰어내려 귀중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혼자 불을 끄려고 노력하다 불이 확대되어 미쳐 피나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행동 요령을 평상시 염두에 두고 훈련 하여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우선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 그리고 화재경보 비상벨을 ...2024.10.20
-
응급실습 케이스 스터디2024.10.161. 골절의 개요 1.1. 골절의 정의 및 원인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손상 또는 병리적 골절 등이 있다. 자동차 사고는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충돌 시 갑작스러운 힘이 가해져 뼈가 부러지게 된다. 낙상의 경우 지면과의 충돌로 인해 뼈가 부러지며, 구타나 뒤틀림과 같은 외부 폭력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계에 눌리거나 압착되는 압축손상의 경우에도 골절이 초래된다. 한편 골다공증이나 골종양과 같은...2024.10.16
-
생활속의안전2024.10.181. 화재 예방 및 대응 1.1. 화재 발생 시 기본 대피 요령 화재 발생 시 기본 대피 요령은 다음과 같다.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 그 후 화재경보 비상벨을 눌러 화재 상황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해서는 안 되며, 안전한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해야 한다.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해야 한다. 대피 시에는 낮은 자세로 안내원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해야 한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2024.10.18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2012년~2022년)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2024.10.191. 코로나19와 사회변화 1.1. 코로나19의 이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증후군으로 폐렴 증상이 전형적인 중증의 전염병이다. 질병관리청(2021)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22년 10월 10일 현재 공식 통계만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는 24,970,789명이고 사망자 수는 28,675명에 이르고 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625,179,748명이고 사망자 수는 6,562,861명에 달한다. 코로나19는 같은 코로나바이...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