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개
-
심폐소생술2024.09.121. 심폐소생술 정의 및 원리 1.1. 심폐소생술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사람이 호흡이나 심장박동이 멈추어 맥박이 뛰지 않을 때 인공적인 호흡으로 혈액순환을 도와 인위적으로 몸속에 산소공급을 유지시켜서 사망을 예방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뇌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마비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1.2. 심폐소생술의 원리 사람이 죽게 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 원인 중의 하나인 기도폐쇄나 심정지의 환자도 발생원인을 불문하고 임상적 사망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부정맥의 형태를 나타낸다. 심폐소생술은 이...2024.09.12
-
저체온증으로 인한 무의식의 경우 응급처치 방법2024.09.261. 해양 스포츠 응급처치 1.1. 해양 스포츠의 안전성 해양 스포츠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활동이다.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다양한 기상 변화와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익수사고, 저체온증, 동물 교상 등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해양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먼저 물에 빠지는 익수사고는 매우 위험하다. 물에 잠긴 후 기도에 물이 흡인되어 질식이 발생하거나, 물속에 오래 있다 보면 체온 저하로 인한 저체온...2024.09.26
-
소아심폐소생술2024.10.031. 소아 심폐소생술의 개요 1.1. 소아 심정지의 특성 소아 심정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에 비해 소아 심정지의 원인이 다양하다. 소아에서는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보다 호흡부전이나 쇼크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가 더 흔하다. 즉, 성인과 달리 소아 심정지의 상당수가 예방이 가능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둘째, 소아 심정지 환자의 5~15%에서만 심실세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아 심정지 환자는 제세동 처치보다는 기본 소생술, 특히 인공호흡이 더욱 중요하다. 셋째, 소아 심정지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2024.10.03
-
cacl22024.09.101. 심폐소생술 1.1. 기본소생술 1.1.1. 반응 확인 및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은 기본소생술의 첫 번째 단계이다.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즉시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는 방법은 먼저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소리로 "괜찮으세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환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심정지가 의심되므로 즉시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병원 밖에서는 119에 신고하여 환자의 발생 위치, 발생 상황 등을 알려줘야 한다. 병원 내에서는 심정지 코드 방송을 통해 전...2024.09.10
-
심정지시 사용하는 약물2024.10.061. 기본소생술(BLS)과 전문심장소생술(ACLS) 1.1. 기본소생술(BLS) 과정 1.1.1. 현장 확인 및 안전 확보 기본소생술(BLS)에서 현장 확인 및 안전 확보는 매우 중요한 첫 단계이다. 응급상황에서 구조자의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먼저 현장을 신중히 살펴보고 위험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현장이 위험하다면 먼저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가스 누출, 화재, 교통사고 현장 등 2차 피해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위험요소를 없애거나 피해야 한다. 전선, 날카로운 물건 등이 있다면 치우고 주변을 정돈하여 안...2024.10.06
-
생활속의 응급처치2024.10.251.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 흉부 압박, 인공호흡, 심장제세동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뇌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정지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일련의 과정이다. 심정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특히 가정과 직장 등 의료 시설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60-80%에 달하므로 심정지의 첫 목격자는 주로 가족, 동료, 친구 등 평범한 일반인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 경과하면 뇌의 비가역...2024.10.25
-
구급대체인력2024.09.281. 심폐소생술의 역사와 개념 1.1. 심폐소생술의 역사 심폐소생술의 역사는 18세기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740년 파리과학학회에서는 물에 빠진 사람에게 구강대 구강 호흡법을 권장하였는데, 이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심폐소생술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 위치한 암스테르담은 주변에 많은 운하가 있어 익사하는 사람이 매년 400명까지 늘어났다. 이에 1767년 "익사자의 소생을 위한 모임"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인류가 예상하지 못한 죽음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만든 첫 모임이었다. 이 모임에서는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했...2024.09.28
-
제세동기 시나리오2024.09.291. 심폐소생술(BLS, ACLS) 및 응급약물 1.1. 심폐소생술 1.1.1. 기본심폐소생술 기본심폐소생술은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로,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조기에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구조를 요청하며,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및 자동 제세동을 시행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대상자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현장상황이 안전한지를 확인한 후 환자를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눕히고, 대상자의 어깨를 두드리며 큰소리로 "괜찮으세요?"라고 질문하여 환자의 의식과 반응 여부를 사정한다. 이 때 쓰러져 있는 환자의 머리...2024.09.29
-
기본 소생술 사례2024.10.101. 심정지 상황에 대한 이해 1.1. 심정지의 정의 및 현황 심정지는 심장의 기능이 갑자기 멈추는 상태로, 심장이 더 이상 몸 전체로 적절한 혈액 및 산소 공급을 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다. 이는 갑작스러운 응급 상황으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내의 급성 심정지 발생 환자 수는 2006년 1만 9480명에서 2016년 2만 9832명으로 약 1만 명 증가했으며, 표준화 발생률은 2006년 인구 10만명당 39.3 명에서 2016년 41.5명으로, 11년간 1.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심...2024.10.10
-
CPCR간호2024.12.311. 심폐소생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게 되면 신체 내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장기가 산소 부족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인공적으로 호흡과 혈액 순환을 유도하여 뇌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 심폐소생술의 목적이다. 심정지 환자에게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통해 혈액 순환과 호흡을 유지시켜 뇌 등의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소생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