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전치태반 제왕절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4.12.151. 전치태반 1.1. 정의 및 종류 전치태반(placenta previa)은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자궁목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로써 흔히 임신 후반기(7개월 이후)에 발생한다. 태반의 자궁하부에서의 위치와 자궁내구를 덮은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전치태반은 정도에 따라 minor 또는 major 등급으로 분류되며, 다시 세부적으로 Ⅰ, Ⅱ, Ⅲ, Ⅳ 유형으로 나뉜다. minor 등급에는 Ⅰ유형(하부전치태반, lateral 또는 low-lying)과 Ⅱ유형(변연전치태반, marginal)이 있고, major 등급...2024.12.15
-
분만실 전치태반 케이스2025.03.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질환이다. 이는 임신 후반기 출혈의 약 20%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임상적 문제이다. 특히 이전의 제왕절개 수술력이 있는 산모에게서 발생률이 약 12배나 높은데, 자궁내막의 흉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산모, 전치태반의 과거력, 유산, 자궁을 수술한 경우, 태반 부착 부위가 넓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임부 등에서 전치태반의 발생 빈도가 높다. 임신 초기에 발견된 전치태반 대부분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저부로...2025.03.07
-
모성간호학 임산부 인터뷰 의사소통기술 및 자아성찰2024.09.241. 전치태반 1.1. 정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거나 자궁 내구 근처의 자궁하부에 착상된 상태를 말한다. 태반에 의해 자궁 내구가 덮여 있는 정도에 따라 전치태반을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완전 전치태반은 자궁경부 내구가 태반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는 경우이고, 부분 전치태반은 자궁경부 내구가 태반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경우이다. 경계 전치태반은 태반의 끝이 자궁경부 내구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하부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아래 부분에 착상되어 있으면서 태반의 끝이 실...2024.09.24
-
전치태반간호과정2024.12.1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치태반은 임신 후반기 출혈성 합병증 중 하나로 고위험 임신에 해당된다. 이번 실습을 통해 고위험 분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당 케이스의 환자는 전치태반으로 인해 제왕절개로 출산을 마친 후 병동으로 입원한 산모이다. 이번 케이스를 작성하며 전치태반 문헌고찰과 해당 케이스 환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왕절개를 진행하기 전, 후의 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보고 산모의 간호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치태반의 정의와 원인, 치료 및 복합적인 간호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문제에 맞게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