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자궁출혈 분만2024.09.041. 분만 단계와 통증완화 전략 1.1. 분만 단계별 변화 1.1.1. 분만 1기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의 시작부터 자궁경관의 완전개대(10cm)까지를 말한다. 분만 1기는 개대 정도에 따라 잠재기(latent phase), 활동기(active phase) 및 이행기(transitional phase) 또는 감속기(deceleration phase)로 나눌 수 있다. 잠재기에는 진진통의 시작과 함께 자궁경관 소실이 주로 진행되며 선진부 하강은 약간 진행된다. 활동기는 경관 개대와 선진부 하강이 빠르게 진행되며, 개대 속...2024.09.04
-
제왕절개 문헌고찰2024.08.161. 서론 1.1. 제왕절개의 정의와 역사 제왕절개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으로,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자른다'는 의미인 cedare에서 유래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제왕절개분만율이 39.6%, 2017년 45.0%로 WHO 권고 수준보다 매우 높은데, 이는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 출산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1...2024.08.16
-
산후출혈 간호진단2025.03.071. 서론 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이는 주로 자궁이완, 산도열상, 잔류태반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궁이완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다 팽만으로 인해 자궁근육이 이완되면서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이다. 이때 자궁저부가 부드럽고 말랑한 상태로 촉지되며, 수분 내 다량의 출혈이 초래된다. 자궁마사지와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자궁수축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 산도열상은 두 번째로 흔한 원인으로, 회음부, 질, 자궁경관의 열상으로 발생한다. 선홍색의 ...2025.03.07
-
자연분만 산후출혈 간호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의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산후출혈은 산모의 적혈구 용적률이 10%가 감소하거나 분만 전 수치보다 감소 또는 혈류역학적인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과다출혈로 수혈이 필요한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는 단단하게 수...2024.09.17
-
제왕절개 수술의 전후 간호2024.09.261. 제왕절개수술 1.1. 제왕절개수술의 정의 및 적응증 제왕절개수술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수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 첫째, 이전 임신에서 제왕절개 수술을 한 경우이다. 이전에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는 다음 출산 때에도 제왕절개 수술을 받는 것이 원칙이다. 이전에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후 자연 분만을 시도하는 것을 VBAC(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라고 하는데, 자궁이 파열될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주치의가 즉각...2024.09.26
-
여성 자궁파열 사례 연구: 쇼크위험성 및 간호과정2024.11.041. 자궁파열 1.1. 서론 1.1.1. 연구의 기간 및 방법 본 사례 연구는 실습을 하면서 자궁파열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 관찰, EMR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1.2. 연구의 필요성 자궁파열은 산부와 태아 모두를 위협하는 무서운 문제이고 이로 인해 많은 출혈이 나타나게 된다. 태아 사망률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빠른 처치를 통해 산부와 태아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만실과 여성병원 수술실에서는 분만 뿐만아니라 여러 여성 생식기 질환을 치료를 한다. 나는 그 중에...2024.11.04
-
유도분만 케이스 출혈2024.11.051. 유도분만 1.1. 정의 유도분만이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일으키는 외부 물질을 투약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여 분만시키는 것을 말한다. 산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시행하는 시술 중 하나로, 유도분만을 진행하면 인위적으로 자궁구를 부드럽게 만들어 자궁이 수축되도록 진통을 유발시키므로 자연분만과 같은 과정으로 출산이 진행된다. 1.2. 적응증 유도분만은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2024.11.05
-
제왕절개 문헌고찰2024.10.071. 제왕절개의 정의 및 역사 1.1. 제왕절개의 정의 제왕절개는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 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Cesare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자른다"는 의미인 "cedare"에서 유래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왕절개분만율이 높은 이유는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1.2. 제왕절개의 역사 제왕절개의 역사는...2024.10.07
-
초산부 제왕절개2024.10.021. 서론 1.1. 제왕절개술 현황 우리나라 제왕절개 수술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제왕절개 수술 비율이 42%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수준인 10~15%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제왕절개 수술 비율이 높은 이유로는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 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통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부위마취 방식인 경막외 척추 마취 또는 척추 마취가 증가하고 있다. 부위마취는 전신마취에 ...2024.10.02
-
여성 브이심2024.11.201. 여성 모성 간호 브이심(Vsim) Core 디브리핑 보고서 1.1. 1번: Olivia Jones (Core), 경증 자간전증 1.1.1. 자간전증의 질병, 증상, 원인에 대한 고려 자간전증은 임신 중 고혈압과 단백뇨가 동반되는 산과적 합병증이다. 자간전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태반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전신적 혈관 수축과 장기 손상이 주된 병리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자간전증의 주요 증상은 고혈압, 단백뇨, 부종, 두통, 시력 문제, 상복부 통증 등이 있다.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며, 임신...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