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핵심문제2024.09.181. 정상산욕 간호 1.1. 자궁의 퇴축성 변화 자궁의 퇴축성 변화는 분만 후 임신과정에서 늘어났던 자궁근섬유가 수축하면서 이루어진다. 이 퇴축 과정은 3가지 주요한 과정에 의해 진행된다. 첫째, 자궁근섬유의 수축과 견축이다. 임신 과정에서 태아의 성장으로 인해 늘어나고 얇아졌던 자궁근섬유는 태반만출 후 즉시 수축되고, 자궁벽은 두꺼워지며, 전벽과 후벽이 서로 밀착된다. 이 퇴축 과정은 급속히 진행되어 분만 후 6주 후에는 40~60g으로 줄어들게 된다. 분만 직후 자궁저부는 대개 배꼽 아래에 있지만, 분만 12시간 후에는 상승...2024.09.18
-
전치태반 제왕절개2024.09.241. 전치태반 1.1. 정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출구를 덮고 있을 때를 말한다. 정도에 따라 4등급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 전치태반은 자궁 출구의 속구멍이 태반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는 경우이고, 부분 전치태반은 자궁 출구의 속구멍이 태반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경우이다. 변연 전치태반은 태반 끝부분이 자궁 출구의 속구멍의 변연에 위치하는 경우이며, 하위태반은 태반이 자궁 하절부에 착상되었으며 태반의 끝이 실제로 자궁출구 속구멍에 닿지 않고 매우 근접해 있는 경우이다. 1.2. 원인 전치태반의...2024.09.24
-
여성간호학 문제2024.10.071. 분만과 산후간호 1.1. 분만 전 간호 1.1.1. 분만 전 관장의 목적 분만 전 관장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대장이 비워져 선진부 하강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분만 시에 태아의 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태아의 위치를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둘째, 분만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만 과정에서 배출되는 태변이나 오염 물질이 자궁강 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관장을 통해 회음부가 확장되고 분만이 촉진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분만 전 관장은 태아 하강과 분만 촉진, 그리고 산모와 태아...2024.10.07
-
산욕부 산모교육2024.10.081. 산모 산욕기 관리 1.1. 자궁퇴축 출산하고 태반이 만출되면 자궁저부는 대개 배꼽 아래에 위치하고 분만 후 12시간 후에는 배꼽 부위로 상승되었다가 하강하게 된다. 분만 후 10~12일이면 더 이상 복벽에서 만져지지 않고 분만 후 6주가 되면 자궁이 거의 완전 회복되고 임신 전의 크기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처럼 자궁은 분만 후 점점 퇴축되어 임신 전의 크기로 회복되는데, 이를 자궁퇴축이라고 한다. 자궁퇴축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분만 후 24시간 동안 자궁저부검진을 통해 자궁이 이완되어 있는지...2024.10.08
-
산욕기 산모교육2024.11.131. 산욕기 산모교육 1.1. 자가간호 1.1.1. 회음부 관리 1.1.1.1. 좌욕 좌욕은 산욕기 산모의 회음부 관리에서 가장 흔한 적용 방법이다. 좌욕은 분만 후 회음부 통증을 완화시키고 상처 회복을 돕는다. 좌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온이 38~40도로 적정한 온도의 물에 15~20분간 회음부를 담그는 것이다. 좌욕은 하루에 3-4회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하면 수유 후나 용변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수유 후나 용변 후에 실시하면 오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이다. 병원에서는 좌욕 방법에 ...2024.11.13
-
산욕기간호2024.11.281. 산욕기 개요 1.1. 산욕기의 정의 산욕기란 분만 직후부터 시작하여 산모의 신체가 임신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시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산욕기는 분만 후 약 6주 정도 지속된다. 분만 후 산모의 신체는 복잡한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된다. 자궁은 점차 줄어들어 분만 후 10~14일 만에 더 이상 촉지되지 않을 정도로 작아지며, 오로는 점차 색이 옅어지면서 7~10일 후에는 흰색이나 노란색을 띠게 된다. 경부는 분만 직후 거의 긴장도가 없다가 2~3일 안에 임신 전 상태와 비슷해진다. 유방에서는 분만 후 태반이 탈락되면서 에...2024.11.28
-
여성건강간호학 정상산욕간호2024.11.161. 정상 산욕 간호 1.1. 산욕생리 1.1.1. 자궁 1.1.1.1. 자궁의 퇴축 태반만출 후 자궁은 임신 전의 크기와 모양, 위치를 회복하고 태반 부착부위 자궁내막이 치유되는 과정을 시작한다. 이 과정은 자궁근의 섬유의 수축, 이화작용, 자궁내막의 재생으로 이루어진다. 태반만출 후 태반이 부착되었던 부위의 혈관주변 자궁근이 수축하여 태반 박리부위의 출혈을 조절한다. 자궁근의 수축으로 자궁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면서 이전의 크기와 모양을 회복하게 되며, 이러한 자궁의 퇴축은 산후 6~8주간 지속된다. 분만 과정 중 태반과 함...2024.11.16
-
산욕기여성사례관리2024.11.171. 산욕기 간호 1.1. 산욕기의 정의 산욕기(Postpartum Period)란 대개 분만 후 생식기가 임신이전의 상태로 급속히 변화하는 6주간을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 산모는 생리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 수유를 위한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난다. 분만 후 여성과 가족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변화에 적응해야 하며 출산과정이나 호르몬의 변화, 아이 양육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다." 1.2. 산욕기의 생리적 변화 1.2.1. 자궁의 변화 태반 만출 직후 자궁은 임신 전의 크기와 모양, 위치를 회복하고 태반부착부위 자궁내막이...2024.11.17
-
산욕기 여성의 생리적 반응과 간호2024.09.101. 산욕기 여성의 생리적 변화 1.1. 자궁의 퇴축 자궁의 퇴축은 태반 만출 후 자궁이 임신 전의 크기와 모양, 위치로 회복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태반이 분리되면 태반 부착부위의 자궁근육이 수축하여 혈관을 막고 출혈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궁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면서 이전의 크기와 모양을 회복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산후 6~8주간에 걸쳐 지속된다. 태반 만출 직후 자궁바닥은 배꼽과 치골결합 중간 높이에서 촉진되지만, 약 12시간이 지나면 자궁바닥이 배꼽 높이로 상승한다. 이후 자궁바닥은 매일 1~2cm씩 하강하여 분...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