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자연분만 후 산후출혈2024.09.17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자연분만(%)과 제왕절개(%)의 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자연분만이 57.7%, 제왕절개가 42.3%였으나 2021년에는 자연분만이 50.3%, 제왕절개가 49.7%로 제왕절개 비율이 7.4% 증가하였다"" 이는 분만 시 산도열상을 입을 수 있는 요인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제왕절개분만 후 산도 손상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므로, 산후출혈 위험이 높은 대상자로 볼 수 있다"" 또한 산후조리 동안 질환을 경험한 비율도 31.3%로 적지 않았으며, 이 중 자궁출혈 경험...2024.09.17
-
산후출혈2024.11.05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출혈이란 질식 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혈액 손실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로서 전체 임신 중 약 4~6%에서 발생한다. 대부분 자궁의 이완으로 인한 것으로, 약 80%에서 이 원인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도 태반 분리, 응고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다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1.2. 원인 1.2.1. 자궁 근육 무력증(자궁이완증) 자궁...2024.11.05
-
통합시뮬레이션실습 분만1기 고혈압2024.10.171. 산후출혈의 이해 1.1. 산후출혈의 정의와 위험요인 산후출혈의 정의와 위험요인이다.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내에 발생하는 500ml 이상의 출혈을 말한다. 자궁의 비정상적인 수축으로 인해 태반 분리 부위에서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산후출혈은 산모 사망률의 주요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 관련 사망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산후출혈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자궁이완증, 유착태반, 자궁파열, 산도열상, 산후골반혈종 등이 있다. 자궁이완증은 가장 흔한 원인으로, 거대태아, 다태임신, 양수과다증...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