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모성 유산 시나리오2024.09.191. 유도분만 1.1. 정의 유도분만이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이를 통해 분만과 출산에 대해 신체적, 정서적으로 대처할 여유가 있으며, 마취에 따른 위험이 적고, 분만 시간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2. 적응증 및 금기증 1.2.1. 적응증 유도분만의 적응증은 주로 모체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2024.09.19
-
자궁 외임신 수술2024.11.281. 서론 1.1. 자궁외임신의 정의 자궁외임신이란 수정란이 정상적인 위치인 자궁몸통의 내강에 착상되지 않고 다른 곳, 즉 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가장 많이 발생),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 자궁을 지지하는 여러 인대, 복강,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한다."" 1.2. 자궁외임신의 원인과 위험요인 자궁외임신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외임신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난관이 좁아졌거나 난관점막의 수정란에 대한 수용력이 증가되어 발생한다. 즉 수정란의 운반이 지연되어 자궁...2024.11.28
-
모성간호 지침서2024.12.181. 임신의 생리적 특성 1.1. 자궁, 경관, 난소, 질의 변화 자궁, 경관, 난소, 질의 변화는 임신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생리적 특성이다. 임신 기간 동안 자궁은 크기, 무게, 길이, 너비, 깊이, 부피와 전반적인 용적이 모두 크게 증가한다. 자궁벽의 두께는 1.5cm까지 증가하고, 자궁은 단단한 구체의 모양으로 속이 빈 용기의 모습을 하게 된다. 자궁의 증가와 함께 자궁의 혈류가 대폭 증가하는데, 이는 자궁근육을 관류시키고 성장하는 태아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함이다. 임신 6~8주 사이에 자궁경관은 혈관의 울혈에 의해...2024.12.18
-
perihepatitis2024.09.081. 골반 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1.1. 정의 및 특징 골반 염증성 질환은 자궁, 난관, 난소, 복막 및 인접 지역 등 상부 생식기에 침범하는 성적(性的)으로 전파되는 질환이다. 하부 생식기에 침입한 여러 가지 병균이 생식기를 따라 상부로 올라와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난관의 염증이 가장 특징적이며 자궁내막, 난소 자궁벽과 자궁의 넓은 인대에도 염증이 퍼지게 된다. 보통 골반 염증 질환은 급성으로 시작하여 치료 후에도 만성 골반 질환으로 이행된다. 1.2. 발생 경로 및 원인...2024.09.08
-
자궁외임신2025.02.241. 서론 1.1. 자궁외임신의 정의 및 현황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이 아닌 다른 곳에 착상하는 것을 말한다. 정상적으로 난자와 정자의 수정은 난관에서 일어나며 이 수정란은 난관을 지나 3~4일 후에 자궁으로 도달한다. 그러나 난관이 막혔거나 손상된 상태에서는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할 수 없어 난관에 착상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자궁외 임신의 95%는 난관 임신에 해당한다.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전체 임부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했으며 모성 사망률도 10%에 이른다. 1.2. 자궁외임신의 원인 및 위험요인 자궁외임신...2025.02.24
-
골반염pid 환자를 배뇨 장애 간호과정 알려줘2024.09.051. 골반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1.1. 정의 골반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이란 자궁, 난관, 난소, 복막 및 인접 조직 등을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하부 성기에 침입한 각종 세균이 상향 이동해 발생하는 속발성 질환이다. 많은 예외는 있으나 일반적인 경향은 급성으로 시작하여 완전히 치료가 되거나 혹은 계속적으로 재발되는 만성 과정으로 이행한다."" 1.2. 원인 골반염증성 질환의 원인은 대체로 성병의 원인균들이 주를 ...2024.09.05
-
복강내출혈2025.03.021. 복강내출혈 1.1. 질병 기술 1.1.1. 정의와 원인 복강내출혈이란 복강 내 장기의 파열에 의해서 복강 내에 출혈이 생긴 상태이다. 사고나 외상에 의한 내장파열, 동맥류의 파열, 또는 자궁 외 임신파열, 간암 등 악성종양의 파열, 나아가서는 소화관 천공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복강 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은 복막 자극 증상이나 쇼크가 생겨서 중태가 되나 비장 파열 등의 경우에는 때로 수일에서 수 주간 무증상일 때가 있다. 이때는 한동안 경과관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고나 외상에 의한 내장파열, 동맥류의...20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