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자연분만 진단검사2024.09.131. 서론 1.1. 산후출혈의 정의 및 원인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과다출혈로 정의된다.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이완(Uterine Atony)이다. 산모의 자궁이 이완되어 수축이 되지 않으면 태반으로 혈액을 공급하던 혈관이 열려 있어 다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자궁이완은 거대아, 다태임신, 양수과다 등으로 인한 자궁의 과도한 팽만이나 급속 분만 또는 지연분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은 천천히 지속적으로 또는 갑자기 다량으로 나타날 수 있다. 1.2. 산후출혈...2024.09.13
-
시뮬레이션 모성2024.09.231. 태아심음 양상 1.1. 기저 태아심박동수 기저 태아심박동수는 태아의 기본적인 심박동수를 의미하며, 태아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정상 기저 태아심박동수는 110회/분에서 160회/분 사이로 알려져 있다. 기저 태아심박동수가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태아에게 이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태아서맥(기저 태아심박동수 110회/분 이하)은 태아 저산소증, 산모 저혈당증, 태아 산증 등의 징후일 수 있으며, 태아빈맥(기저 태아심박동수 160회/분 이상)은 태아 저산소증, 산모 발열, 양막염 등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2024.09.23
-
산후출혈병태생리2024.10.30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 출혈은 질식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산후 출혈이란 분만 3기 중과 후에 산도를 통하여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으며, 전 혈량의 15% 이상을 소실하는 경우를 말한다. 산후 출혈은 조기(원발성) 산후출혈과 후기(속발성) 산후출혈로 구분된다.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고, 후기 산후출혈은 산후 24시간에서 분만 후 6주 사이에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정의를 통해 산후...2024.10.30
-
모성간호학 시뮬레이션 디브리핑2024.10.131. 산욕기 간호 1.1. 자궁마사지 자궁마사지는 산욕기 산모의 중요한 간호 중재 중 하나이다. 출산 후 자궁이 정상적으로 수축하고 퇴축하는 것은 산모의 회복과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다. 자궁수축이 잘 되지 않으면 산후출혈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산모의 자궁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필요시 자궁마사지를 수행해야 한다. 자궁마사지는 자궁저부를 압박하여 자궁수축을 유도하고 혈류 공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궁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여 퇴축하도록 돕고 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마사지를 통해 혈액순환이 ...2024.10.13
-
Uterine atony2024.11.221. 자궁근무력증 1.1. 정의 자궁근무력증은 "태반이 분리될 때, 자궁의 근 섬유가 혈관 주위에서 단단하게 수축하지 못하도록 하는 근육 긴장의 결핍"을 말한다. 자궁근무력증에서는 이완된 근육으로 인해 회음부에 있는 자궁내막 동맥으로부터 빠르게 출혈이 일어나게 된다. 자궁의 근육 섬유가 혈액의 흐름을 중단시키기 위해 수축할 때까지 출혈은 계속된다. 1.2. 원인 및 위험 요인 자궁근무력증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의 과다 팽대로 인한 자궁근 피로는 자궁근무력증의 주요 원인이다. 다태임신, 거대아, 양수과다증 등...2024.11.22
-
통합시뮬레이션실습 분만1기2024.10.171. 정상분만과정(분만1기)의 정의 및 사정 1.1. 잠재기 잠재기는 분만1기의 첫 단계로, 진통이 시작되고 자궁경부가 서서히 개대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체온이 37.5도 이내를 유지하고, 자궁수축이 15-30분마다 한 번씩 발생하며, 10-30초 동안 지속된다. 양막이 파열된 경우 매시간 양막파열 상태를 확인한다. 태아심박수는 분당 110-160회로 유지되어야 하며, 후기하강이 없어야 한다. 이 시기의 저위험군 산부는 30분마다, 고위험군 산부는 15분마다 태아심박수를 청진한다. 태아의 움직임도 관찰한다. 전자태아감시기를 ...2024.10.17
-
산후출혈 시뮬레이션2024.09.071. 산모 상태 관찰 1.1. 활력징후 확인 활력징후 확인은 산모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산모의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을 측정하여 이상 징후를 확인한다. 이분만님의 활력징후는 BP: 80/50, P: 100회/min, R: 14회/min, BT: 37.0℃로 측정되었다. 혈압이 낮은 편이며 맥박이 빠른 것으로 보아 출혈로 인한 저혈량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체온은 정상이지만 호흡수가 약간 증가한 것으로 보아 산모가 불안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며 ...2024.09.07
-
Vsim maternity 산후출혈2024.08.311. 산후출혈의 개요 1.1. 조기산후출혈 1.1.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다 팽만이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거대아, 다태임신, 양수과다 등으로 인한 자궁의 과다 팽만, 급속분만 혹은 자연분만, 다산부, 마취제, 황산마그네슘, 칼슘통로차단제, 자궁수축억제제의 사용, 융모양막염, 자간전증, 전치태반, 분만 시 격렬한 자궁수축이나 저긴장성 수축으로 자궁근육에 피로가 왔을 때 자궁이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출혈의 위험요인이 있는 산모는 혈액형을 확인하고 교차시험을 실시하며, 수혈이 가능한 바늘로...2024.08.31
-
산후출혈2025.02.091. 서론 산후출혈은 분만 후 산모의 건강과 생명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산후출혈의 원인은 다양하며, 조기 산후출혈과 후기 산후출혈로 구분된다. 조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자궁이 이완되거나 수축하지 않는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후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부터 6~12주 사이에 발생하는 출혈로, 태반 조직의 잔류, 자궁내막염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산후출혈의 증상에는 오심, 현기증, 두통, 발한, 혼돈, 심계항진 등이 있으며, 간호사는 활력징후와 혈액 손실량 등을 면밀히 사정해야...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