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 A2024.09.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궁경부는 임신의 유지 및 분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 임신 동안 자궁 경부는 태아와 자궁의 크기 변화에 관계없이 단단하고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임신 말기 및 분만 때가 되면 자궁경부는 부드러워지고 길이가 짧아지면서 태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임신 중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지 못하여 임신 2기 중에 진통이나 자궁 수축 없이 자궁 문이 열려서 양수 과수 및 태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를 자궁경관 무력증이라고 한다. 자궁경관 무력증은 자궁경부...2024.09.16
-
모성맥도날드수술2024.09.241. 자궁경부무력증 1.1. 자궁경부의 구성 자궁경부는 주로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평활근, 기질세포, 상피, 혈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조직은 전체 자궁경부 기질의 대략 15%정도를 차지하며 자궁경부의 상부에는 대략 30%정도, 하부에는 7%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 조직은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로 이루어져 있고, 세포 외 간질의 주요 구성요소는 아교질(collagen), 단백질아미노글리칸(proteoaminoglycans), 엘라스틴(elastin), 섬유소결합소(fibronec...2024.09.24
-
IIOC 간호과정2025.01.27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IIOC)의 정의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IOC)은 자궁경관의 근육조직과 결합 조직이 적절한 비율로 결합하여 탄탄하게 태아를 지탱해 주어야 하나, 자궁경관이 약한 산모는 임신 중기(2기)부터 습관적으로 조산하게 되는 질환이다. 즉, 임신 2기와 3기 초기에 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태아가 나오는 출구인 자궁경관에 힘이 없어서 태아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분만 진통과 자궁수축 없이 자궁경관 개대가 있으면서 양막이 질내로 탈출하거나 파열되어 조기...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