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2개
-
특이적면역2024.09.111. 허혈과 허혈성 심질환 1.1.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의 발생기전은 심박출량의 감소와 혈관저항의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면 평균 동맥압도 감소되어 조직 관류의 저하로 허혈이 발생한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는 요인에는 총 혈액량의 감소, 혈관확장, 심장의 펌프효율성 저하 등이 있다. 출혈, 화상, 탈수 등으로 혈액량이 감소하고 패혈성 쇼크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 투여는 전신 현관을 확장시켜 상대적인 혈액량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심근의 탄력성 저하로 인한 울혈성심부전은 수축기의 심박출계수 감소와 이완기의 부적절한 이완...2024.09.11
-
아동간호학 수문사 요약2024.09.121. 아동 간호학 개요 1.1. 아동 성장 발달 특성 아동의 성장과 발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성장은 신체의 크기 증가를 의미하며, 키, 몸무게, 혈압 등의 양적인 변화로 나타난다. 반면 발달은 능력이나 기능의 질적인 향상을 의미한다. 언어 발달, 인지 발달 등이 발달의 대표적인 예이다. 성장과 발달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장과 발달의 주요 원리로는 두미 발달과 원위 발달이 있다. 두미 발달은 머리에서 아래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원위 발달은 몸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발달하는 것을...2024.09.12
-
유치도뇨관 삽입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소변백 스티커 부착을 통한 소변백 관리에 대한 지식도와 실천인지도 증진2024.09.131. 발열 1.1. 발열의 원인 발열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발열은 감염, 염증반응과 관련이 많지만 때로는 자가면역질환, 혈관질환, 신생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우선,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발열이 가장 일반적이다.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감염 등이 발열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감염원으로 인해 체내에 염증반응이 일어나면서 발열이 유발된다. 또한 자가면역질환은 자신의 정상 조직을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공격하는 질환으로, 그 과정에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2024.09.13
-
비특이적면역과 특이적면역에 대하여에 대하여2024.09.181. 면역의 정의와 중요성 1.1. 면역의 정의 면역은 미생물 침입으로 인한 질병과 그 밖의 문제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주된 방어기전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면역은 크게 선천적 면역(자연면역)과 후천적 면역(획득면역)으로 나뉜다. 선천적 면역은 인체가 면역원과의 접촉이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반응을 말하며, 후천적 면역은 인체에서 이종단백질에 대한 적응반응으로 형성되거나 이미 형성된 것을 받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2024.09.18
-
류마티스 관절염2024.09.261. 류마티스 관절염 개념 1.1. 정의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일반적으로 말초관절에 염증과 동통을 일으키는 질환서 윤활막 조직의 염증을 주된 병리적인 특징으로 하는 만성자가면역성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빈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정도 높으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고령일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여, 특히 40~60 연령대의 발생 빈도가 높은편이다. 1.2. 발생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질환에 생기는 활막염의 발생에 있어서의 면역학적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2024.09.26
-
크론병 간호진단 간호중재2024.09.211. 서론 1.1. 보고서의 목적과 필요성 크론병은 과거에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드문 질환이었으나, 최근 10여 년 사이에 급증하고 있는 자가 면역성 질환이다. 특히 크론병은 다양하고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여 완치가 되지 않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주로 젊은이들에서 발병하여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간호사로서 적절한 대처와 간호가 중요하기에, 본 보고서의 목적은 크론병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과정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1.2. 크론병 문헌고찰 크론병은 입에서...2024.09.21
-
특이적면역과 비특이적면역2024.09.211. 허혈의 발생기전과 간호중재 1.1.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은 심박출량의 감소와 혈관저항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평균 동맥압도 감소되어 조직 관류의 저하로 허혈이 발생한다. 심근은 관상동맥을 통하여 심실 이완기 때 혈액을 공급받는데 이때 평균 동맥압이 최소한 60mmHg가 되어야 적절한 조직 관류를 유지할 수 있고 뇌나 신장과 같은 주요 기관의 관류를 유지하기 위해선 60∼70mmHg의 평균 동맥압이 필요하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는 요인은 크게 총 혈액량의 감소, 혈관확장, 심장의 펌프효율성 저하 등이 있...2024.09.21
-
그레이브스병 케이스 진단 3개2024.10.021. 갑상선기능항진증 1.1. 정의 및 발생빈도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갑상선의 활동이 과도한 상태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흔하고 20~40대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그레이브스병이며, 이 밖의 원인은 독성 결절성 갑상선종, 갑상선염, 요오드 과다섭취, 뇌하수체 종양, 갑상선 암 등이 있다. 갑상선중독증은 순환하는 T4와 T3의 과다로 인한 과대사의 신체적 증상 또는 임상적 증후군을 의미한다." 1.2. 원인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원...2024.10.02
-
임상병리2024.09.191. 임상병리검사의 이해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와 목적 임상병리검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여 질병의 진단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이다. 1.2. 임상병리검사의 분야 임상병리검사의 분야는 다음과 같다" 임상병리검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2024.09.19
-
다발성경화증2024.09.201.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1.1. 정의 및 특징 다발성 경화증은 만성퇴행성 신경근질환으로, 뇌와 척수의 신경섬유 수초 탈락이 특징이다.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경우 환경 요인으로 인해 면역조절 기능이 손상되면서 자가면역질환으로 발병한다. 주로 20~40대에 발병하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더 많이 발병한다.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3.5명 수준의 발병률을 보이며, 추운 북쪽 지역에서 발병률이 더 높다. 중추신경계에 흉터조직이 퍼지면서 만성적이고 점진적으로 악화와 회복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