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물권법정주의2024.09.181. 물권법정주의의 의의 1.1. 물권법정주의의 개념 물권법정주의의 개념이란 물권의 종류와 내용을 법률로 정하는 것에 한정하는 원칙을 말한다. 즉, 물권의 종류는 법률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며, 나아가서 법률에서 인정되고 있는 종류의 물권이라 하더라도 설정된 물권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물권법정주의에 의해 물권법이 규정하고 있는 물권의 종류와 그 구체적인 내용은 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채권법에서의 계약자유의 원칙과 대비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민법상 물권법정주의...2024.09.18
-
의료 분야 정보시스템 활용 시 윤리적 딜레마2024.10.271. 의료 정보화의 장단점 1.1. 서론 오늘날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보건의료 전달뿐만 아니라 간호 전달에서도 정보기술의 사용과 관련된 법적 그리고 윤리적인 고려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사생활 보호와 기밀보호는 보건의료정보의 획득, 유지, 분석, 확산과 관련 있으며, 정보기술의 윤리적, 법적 측면을 다루는 정책과 지침의 개발도 포함된다. 간호는 환자의 보건의료전달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자와 전문직에 대한 간호의 책임은 법적 그리고 윤리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컴퓨터가 보편화되면서 복잡한 자료 연...2024.10.27
-
국토정책위원회의 역할2024.10.131. 국회 상임위원회와 기금 예산 1.1. 국회 상임위원회의 기능과 역할 국회 상임위원회는 입법의 중심지로서 사실상 법안의 운명을 결정하는 입법 단계이다. 행정부 전문 소관분야에 따라 나뉘어 설치된 상설 위원회로, 소관부처에 속하는 안건과 청원들을 심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법안 발의도 위원회의 상정을 거쳐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상임위원회의 기본업무는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정원 등을 심사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법안의 제안 · 제정 · 개정 · 폐지, 공청회와 청문회 개최, 국정조사 및 감사, 예산심사 및 결산...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