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핵심이 보이는 전자회로실험 제너 다이오드2024.10.071. 제너 다이오드의 특성 1.1.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인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압이 증가하더라도 전류가 거의 증가하지 않지만, 제너 다이오드는 특정 역방향 전압(제너 전압) 근처에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제너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역방향 전류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제너 전압에 이르면 전압을 조금만 증가시켜도 전류가 크게 증가한다. 이는 제너 항...2024.10.07
-
중앙대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 실습 2결과보고서2024.09.191.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SMPS) 1.1.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MPS)에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핵심 부분이다.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회로는 주기적인 톱니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와 비교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스위칭 펄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위칭 펄스는 Buck 컨버터나 Boost 컨버터의 스위치 소자(MOSFET)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PWM 제어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발진기에서 톱니파 신호가 생성된다...2024.09.19
-
트렌지스터 증폭2024.11.111. 트랜지스터의 특성 1.1. 트랜지스터의 3가지 영역 트랜지스터의 3가지 영역은 차단영역, 활성영역, 포화영역이다. 차단영역에서는 트랜지스터 베이스-이미터 전압(VBE)이 0.6V 이하로 작아 트랜지스터가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콜렉터 전압(VCE)이 전원전압(VCC)에 가깝게 유지된다. 활성영역에서는 VBE가 약 0.6V 부근으로 증폭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VCE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한다. 포화영역에서는 VBE가 0.6V를 넘어 트랜지스터가 완전히 켜져 VCE가 거의 0V에 가깝게 된다. 이 영역에서 트...2024.11.11
-
multisim으로 배우는 전자회로 실험2024.11.011. 제너 다이오드 특성 및 전압조절기 실험 1.1.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전류 특성과 정전압 작용 1.1.1.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전류 특성 제너 다이오드는 일반 정류 다이오드와는 다르게 역방향 항복 영역에서도 동작하도록 설계된 실리콘 pn 접합소자이다. 제너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시 일반 정류 다이오드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 순방향 바이어스 시, 양극(A)에는 양(+)의 극성을, 음극(K)에는 음(-)의 극성을 가지도록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 경우 회로 내에 순방향 전류(IF)가 흐르게 되며, 제너 다이...2024.11.01
-
Plecs2024.11.261. 인버터 시뮬레이션 1.1. 단상 준구형파 제어 단상 준구형파 제어는 인버터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킨 채 지연각을 통해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지연각은 스위치의 상단과 하단이 동시에 켜지는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지연각을 0°, 45°, 90°, 135°, 180°로 늘려갈수록 출력전압의 실효치와 기본파의 실효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연각을 늘려갈수록 스위치의 상단과 하단이 동시에 켜지는 구간이 길어져...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