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전신질환 환자의 치과치료와 임플란트와, 술 후 유지 관리에 대하여 목차를 써줘2024.10.031. 임플란트의 정의 및 역사 1.1. 임플란트의 정의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 수복하기 위해 치조골 또는 악골 내에 매식되어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을 하게 하는 생체친화적인 인공치근을 의미한다. 결손치를 수복하기 위한 영구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골 내에 식립되는 장치로, 환자의 건강과 구강기능, 심미성, 편안감을 회복시켜준다. 현대 치의학에서는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조직에 매식되는 이물성형 재료의 보철 장치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2024.10.03
-
단순발치 과정2024.10.241. 단순발치와 난발치의 과정 1.1. 단순발치 단순발치는 치아 발거 시 골을 제거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겸자 또는 기자만으로 치조와에서 발거하는 술식이다. 단순발치 시 사용되는 기구 및 재료로는 기본기구, 소독제(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제), 세정용 주사기, 생리식염수, 소독용 면구, 멸균거즈, 마취주사기, 주사침, 국소마취제, 외과용 큐렛, 발치겸자, 발치기자, 흡입관 등이 있다." 단순발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성립한다. 둘째, 발치 전 해당 치아 주위를 청결하게 하여 2차 감염의...2024.10.24
-
치은절제술의 사용되는 기구의 순서2024.10.161. 임플란트(Implant)의 개요 1.1. 임플란트의 정의 치과 임플란트란 상실된 치아를 대체 수복하기 위해 치조골 또는 악골 내에 매식하여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을 하게 하는 생체친화적인 인공치근을 말한다. 결손치 수복을 위한 영구적 지지를 부여하기 위해서 골 내에 식립하는 장치로 환자의 건강과 구강기능, 심미성, 편안감을 회복해준다. 현대 치의학에서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조직에 매식되는 이물성형 재료의 보철 장치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2024.10.16
-
매식의치2024.10.101. 임플란트 이해 1.1. 임플란트의 정의 임플란트란 상실된 치아를 대체 수복하기 위해 치조골 또는 악골 내에 매식하여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을 하게 하는 생체친화적인 인공치근을 말한다. 결손치 수복을 위한 영구적 지지를 부여하기 위해서 골 내에 식립하는 장치로 환자의 건강과 구강기능, 심미성, 편안감을 회복해준다. 현대 치의학에서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조직에 매식되는 이물성형 재료의 보철 장치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골조직 내부에 ...2024.10.10
-
위생사2024.11.111. 치과위생사의 역할 1.1. 공중구강보건활동자 치과위생사는 공중구강보건활동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공중구강보건은 지역사회의 자조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으로 구강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는 조직적인 행위이다. 공중구강보건의 내용에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집단불소용액양치사업, 치아홈메우기사업, 집단칫솔질사업,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 등이 포함된다. 치과위생사는 공중구강보건활동자로서 관련 인력과 협력적으로 조화롭게 일하며, 다양한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새로운 역할을 학습한다. 또한 광...2024.11.11
-
치과 과냉각2024.11.101. 임플란트 치과 수술 1.1. 임플란트의 특징 1.1.1. 임플란트의 정의와 역사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정의와 역사를 살펴보면, 임플란트는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 분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일컫는다. 과거에는 빠진 이 대신, 주로 빠진 이의 앞, 뒤 치아를 ...2024.11.10
-
환자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설명2024.10.221. 치과재료학 1.1. 치과재료학의 정의 치과재료학은 치과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재료의 성질과 특성, 그리고 그 재료들이 구강 내에서 사용될 때의 반응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치과재료학은 치과 의료인, 특히 치과위생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는 치과의사의 진료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거의 모든 치과재료를 다루게 된다. 따라서 치과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환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진료 보조를 할 수 있다. 더불어 치과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2024.10.22
-
치과 용어2025.01.231. 치과 용어 개요 1.1. 자주 사용하는 용어 '라비알'은 입술쪽(순측)을 의미한다. '링궐'은 혀쪽(설측)을 의미한다. '버컬'은 볼쪽(협측)을 의미한다. '메지알'은 근심면으로 정중선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디스털'은 원심면으로 정중선에서 먼쪽을 의미한다. '오클루잘'은 교합면을 의미한다. '프록시말'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인접면을 의미한다. '서비컬'은 치경부를 의미한다. '마진'은 보철물과 치아의 경계부분을 의미한다. '블리딩'은 출혈을, '스웰링'은 종창을, '게그 리플렉스'는 구토반응을 의미한다. '케리어스'...2025.01.23
-
조직유도재생술2024.09.021. 조직유도 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1.1. 조직유도 재생술의 정의 조직유도 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이란 조직반응의 차이를 이용하여 치주조직의 재생을 도모하는 술식으로, 치은의 상피가 빠르게 증식하여 결손부 기저부까지 증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치근면과 다른 인접한 결체조직 구성성분을 분리시키는 차폐막을 위치시켜 특정한 세포만을 재분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2. 조직유도 재생술의 원리 조직유도 재생술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파괴된 골조...2024.09.02
-
치위생 술식2025.02.091. 임상 치과진료술식에 관한 내용 1.1. 신경치료 신경치료는 병적상태의 치수와 세균을 기계화학적방법으로 최대한 제거하고 근관내부를 긴밀하게 폐쇄함으로써 근관내부와 외부조직과의 교통을 차단하는 술식이다. 신경치료는 감염된 신경조직으로 인해 통증이 있거나 온도에 민감해진 치아를, 빼지 않고 치아를 살리기위한 거의 마지막 술식이다. 신경치료의 적응증은 보철치료 과정에서의 근관치료, 치주적인 문제로 인한 근관치료, 구강외과 수술과 관련한 근관치료, 전신 질환자의 치통 조절과 근관치료, 비가역적 치수염, 치수괴사, 우식교모, 침식증,...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