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민란2024.10.161. 조선시대 민란의 이해 1.1. 민란과 변란의 개념 및 특성 조선시대 민란(民亂)은 경제투쟁의 성격이 강한 '농민항쟁'을 말하며, 변란(變亂)은 정감록 등 민중사상을 이용하며 정치적 성격이 강한 일종의 정치투쟁을 말한다. 민란은 "發通→聚會→呈訴→蜂起→해산"의 틀(순서)로 나타나는데, 발통은 민란의 주모자들이 시간과 장소를 정해 농민들에게 모이라는 연락을 하는 것이고, 취회는 농민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며, 정소는 대표자를 뽑아 고을 수령에게 개선책을 건의하는 것이다. 정소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봉기로 드러나는...2024.10.16
-
조선후기의 민란2024.10.161. 조선후기 민중운동의 역사적 배경 1.1. 정치·사회적 변화 조선후기 사회는 정치·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먼저 17세기 말~18세기 초 여러 환국으로 인해 정치적 불안정 현상이 나타났다. 환국은 정치집단 간의 세력 관계에 큰 변동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몰락한 측에서는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여러 음모술수가 난무하게 되었고, 성리학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는 등 기존의 유교 윤리에서는 허용되지 않던 행태들이 나타났다. 또한 17세기 말~18세기 초에는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동전이 전...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