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임상화학 효소2025.04.031. 서론 임상화학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각종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효소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온도나 pH(수소이온농도)등 환경 요인에 의하여 기능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효소는 온도가 35-45도에서 활성이 가장 크며, 온도가 올라가면 화학반응 속도가 일반적으로 커짐에 따라 효소의 촉매작용도 커진다. 하지만 온도가 일정 범위를 넘으면 단백질의 분자 구조가 변형을 일으켜 촉매기능이 떨어진다. 또한 효소는 pH가 일정 범위를 넘으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이는 단백질의 구조가 pH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효소 작용은 특정...2025.04.03
-
임상병리 미생물2024.09.281. 미생물감염 1.1. 그람양성균 감염 1.1.1. 포도상구균 감염 포도상구균 감염증은 그람양성 구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이다. 이 균의 특징적인 소견은 인체의 병원성으로, 어느 부위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화농성 세균이다. 이 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데,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골수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킨다. 포도상구균은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구균으로 포도송이 모양의 배열을 하고 있다. 이 균은 인체에 흔히 상재하고 있어 건강한 성인의 경우 30-50%가 콧속에 ...2024.09.28
-
임상병리학과2024.11.071. 임상병리사 전공 소개 1.1. 임상병리검사학 정의 및 분야 임상병리검사학(clinical laboratory science, CLS, medical technology)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이...2024.11.07
-
임상병리사 혈액2024.10.0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및 분야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임상병리검사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즉, 기초과학과 기초의학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고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2024.10.01
-
임상병리요점정리2025.05.151. 임상병리학 개요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은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다. 임상병리검사의 목적은 전단 및 감별진단, 질병 중동도 및 경과 판단을 통한 치료 결정, 예후 판정, 건강검진이나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 발견 또는 예방, 치료 효...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