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간호학2024.09.221. 간호관리 개념 이해 1.1. 연구 필요성 간호관리자는 간호단위에 필요한 간호사 배치수준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인력을 배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간호필요도를 평가하고, 평가한 간호필요도에 근거해 배치수준을 산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배치수준 결정의 절차와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고 간호단위 간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호필요도를 입력하면 필요 배치수준이 자동 계산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있다면, 간호관리자는 실시간으로 현재 배치수준과 필요 배치수준을 비...2024.09.22
-
간호정보학 요약2024.10.301. 보건의료분야와 정보통신 기술 1.1. 보건의료 제공자, 돌봄제공자, 대상자 보건의료 제공자는 보건의료와 관련된 자료 수집이 보다 용이하다"이다.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보건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전산화된 시스템과 정보기술의 활용을 통해 환자의 건강정보와 진료기록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집할 수 있다"이다. 돌봄제공자는 대상자의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이다. 가족, 친구, 자원봉사자 등 보건의료 대상자를 직접 돌보는 사람들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 진료일정, 투약 내역 등을 실시간으로 ...2024.10.30
-
정보활용한 간호교육2024.10.271. 간호정보학의 이해 1.1. 간호정보학의 개념과 정의 간호정보학은 간호과학, 컴퓨터과학, 그리고 정보과학을 통합한 전문분야로 간호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고, 보건의료정보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다. 1989년 Graves와 cororan이 처음으로 "간호실무와 간호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간호 데이터, 정보 및 지식을 관리하고 처리하는 간호과학, 정보과학, 컴퓨터 과학을 결합한 학문이다"라고 정의를 내렸다. 2002년 미국간호협회에서는 간호정보학을 "간호실무에서 데이터, 정보, 지식 및 지혜를 관리하고 전달하기 위해 간호과학, 컴퓨...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