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염료희석법 및 적분의 원리 분석2024.11.231. 염료희석법을 이용한 심박출량 분석과 의학적 활용 1.1. 심박출량의 개념과 의의 심박출량은 심장이 단위 시간, 보통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움직이는 펌프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박출량은 심박수(heart rate, HR)와 일회박출량(stroke volume, SV)의 곱으로 정의된다. 즉, 심박수가 1분당 심장이 뛰는 횟수이고, 일회박출량이 심장이 1회 박동하였을 때 박출하는 혈액의 양인 것을 보여준다.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크게 심...2024.11.23
-
해부학 심장2024.09.091. 심장의 기능 1.1. 혈압의 발생 심장은 펌프 역할을 수행하여 혈액을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혈압이 발생한다. 혈압은 심장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데, 심장의 수축력이 강할수록 혈압은 높아진다. 심장이 수축하면 심실 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혈액이 심실에서 동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혈액이 혈관을 통해 빠르게 이동하면서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바로 혈압이다. 좌심실의 수축이 시작되면 좌심실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판막이 열리면서 혈액이 대동맥으로 밀려나가게 된...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