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4개
-
음식과 세계문화 족보2024.09.091. 근대적 식생활과 소비문화의 변화 1.1. 서론 근대화와 함께 우리는 온갖 인공물들을 이용해서 살아가게 되었다. 먹고 입고 자는 모든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숱한 인공물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듯 인공화 된 일상을 살다보니 우리는 자연을 그저 단순한 자원이나 안식처로 여기기 쉽게 되었다. 근대 일상이란 인공화 된 일상이며 자연의 중요성을 망각한 일상이다. 그러나 아무리 일상의 인공화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우리는 자연을 떠나서 살 수 없다. 우리는 자연 속의 존재이며 자연을 구성하는 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생명이 영위되는 방식...2024.09.09
-
현대사회복지관련법의발달사2024.11.221. 우리나라 현대 사회복지 관련법의 발달사 1.1.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법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맥락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일제강점기에는 국가의 주권이 침탈된 상황에서 일제가 주도하는 구호사업 중심의 임시조치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체계적이고 통일된 법적 준거가 미약하여 실질적인 사회복지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빈곤이나 불구, 폐질에 대한 국가의 보상 의무를 규정함으로써 최초의 공공부조제도가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1944년 시작된 조선구호령은 이후 생활보호법...2024.11.22
-
번안소설과 1910년대 주요 작가 및 멜로드라마 특성 분석2024.10.111. 번안소설의 개념과 특징 1.1. 번안의 정의와 특성 번안은 원작의 내용을 새로운 환경에 맞추어 재해석하거나 변형하여 재창작하는 작업이다. 번안은 단순히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주제나 줄거리를 유지하면서도 문화적, 언어적 차이에 맞게 수정하고 각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번안은 원작을 그대로 옮기지 않고,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과 정서를 고려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변형한다는 점에서 창작적 요소가 강하다. 번안은 원작의 의도와 분위기를 유지하되, 수용자의 정서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창작적 변형이 필수적이다. 번안은 원작을 그...2024.10.11
-
국회 방문 감상문2024.11.261. 서대문형무소 답사 보고서 1.1. 답사 배경 답사 배경은 경복궁과 창덕궁을 비롯한 4대 궁궐과 종묘, 서대문형무소가 제시되었다는 것이다. 나머지 장소들이 조선시대, 즉 중·근세의 사적(事跡)인데 반해 유독 서대문형무소만이 근현대를 역사적 배경으로 하는 것이 특이하게 느껴졌다고 한다. 종묘를 비롯해서 4대 궁궐들은 왕실의 권위와 화려함을 느낄 수 있는 관광지로써 인식되는데 '감옥'이라 할 수 있는 서대문형무소가 마지막에 제시되면서 색다른 느낌이었다고 설명한다. 왕의 집으로써 권력의 터라 할 수 있는 궁궐과, 권력으로부터 배척받...2024.11.26
-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2024.11.231. 소개 서론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은 민태기 저자가 2017년에 출간한 과학사 에세이 모음집이다. 이 책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조선의 과학자들과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근대 과학이 식민지 조선에 어떤 방식으로 유입되고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에게 과학이 무엇이었는지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과거 조선의 과학 역사를 이해하고, 당시 지식인들의 고민과 시각을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하며 독서를 시작하였다.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의 ...2024.11.23
-
이육사 시 감상문2024.11.301. 소개 이육사의 시 세편을 다루고 있는 이 문서는 그의 대표작인 <절정>, <노정기>, <자야곡>을 감상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시들은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극한의 고통과 아픔을 겪어야 했던 시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절정>은 이육사가 치열하게 시대와 맞서 싸우면서도 극한 상황을 수용하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시는 역설적 표현과 기승전결의 구조를 통해 단호하면서도 강인한 시인의 정신을 잘 전달하고 있다.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2024.11.30
-
문학 갈래 작품 분석 및 인생설계2025.01.041.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작품 분석 및 견해 정리 1.1. 시란 무엇인가? 시란 언어예술인 문학의 영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양식이다. 시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노력해왔지만, 간단한 해답을 내리기는 어려움만을 깨닫게 되었다. 즉 "시의 정의의 역사는 오류의 역사다"라는 엘리어트의 말과 같이 시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정의를 내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결국 시에 대한 정의는 인간의 존재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처럼 난해하기 때문에 간단히 해결할 문제...2025.01.04
-
채만식 탁류2024.10.101. 작가 소개 1.1. 채만식의 삶 채만식(蔡萬植; 1902~1950년)은 호가 백릉(白菱), 채옹(采翁)인 작가이다. 1902년 6월 17일 전북 옥구군에서 6남 3녀 중 5남으로 출생하였다.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 부속 제일와세다고등학원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그 후 조선일보사, 동아일보사, 개벽사 등의 기자로 전전하였다가 1936년부터 전업 작가로 활약하였다. 소설 뿐 아니라 희곡에서도 작품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채만식은 1920~1930년대에 주로 농촌의 현실, 지식인의 가난한 모습, 노동자의 갈등, ...2024.10.10
-
조선의 패망과정2024.11.061.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전까지의 과정과 한국인의 가치관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전까지의 과정은 한국인들에게 큰 고난과 시련을 안겨주었지만,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강인한 의지와 자주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1910년 국권 피탈로 시작된 일제강점기는 약 35년간 지속되었다.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한반도를 지배하며, 한국인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한 본격적인 탄압 정책을 펼쳤다. 이 시기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뉠 수 있는데, 초기 동화 정책 시기, 회유 정책 시기, 그리고 민족 말살 통치 정책 시기로 구분된다. 일...2024.11.06
-
고은 시인 작가 탐구 보고서2024.10.171. 작가 탐구: 한국 시인 백석 1.1. 일제강점기 시대의 백석의 생애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3남 1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다른 집처럼 가난했으나 교육에 열성적이던 아버지 덕분에 13살 때 오산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오산학교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말로 수업을 하던 특별한 학교였으며, 백석의 5년 선배로 유명한 민족 시인 김소월이 다닌 학교이기도 했다. 학창 시절부터 영어 회화에 능했던 백석은 문학에도 관심이 많았는데, 학교를 졸업한 후 방에 눌러앉아 글을 쓰다가 19세의 나이...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