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화공안전2024.09.131. 화학물질 사고 현황 및 대응 방안 1.1. 화학물질 사고 분석 1.1.1. 사고원인 화학물질 현황 '1.1.1. 사고원인 화학물질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에서 사고 원인이 된 화학물질은 톨루엔이 18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염산 15건, 유사휘발유 15건, 황산 12건, 시너 12건, 휘발유 10건, 석유 9건, 암모니아 7건, 수소 7건, 솔벤트 7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화학물질에 의한 사고는 전체 사고건수의 약 36%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이들 ...2024.09.13
-
인화점 발화점2024.09.301. 인화점 측정 실험 1.1. 목적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의 액면 부근에서 인하기에 충분한 농도의 증기를 발산하는 최저온도를 말한다. 즉, 공기와 섞여 연소될 수 있는 최소한의 온도를 의미한다. 가령 가연성 액체가 저장탱크, 드럼통, 석유통 등의 밀폐용기 속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하부 인화점과 상부 인화점 사이에서 혼합 가스는 폭발위험이 있다. 이러한 혼합가스의 폭발을 예방하기 위해서 정확한 인화점을 측정하여 이들 범위 밖에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실험장치 실험장치는 인화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시료를 가...2024.09.30
-
인화점과 발화점, A, B, C, D, E, K급 등 화재의 분류와 해당 화재별 소화방법2024.09.301. 화재의 이해 1.1. 화재의 정의 및 요건 화재란 불을 사용하는 사람의 부주의 또는 불안전한 상태에서 발생하여 사람의 신체, 인명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는 "연소현상"이다.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가연물질(연료), 산소 및 점화원(열)이 필요한 연소의 3요소가 갖추어져야 한다. 여기에 연쇄반응을 더하여 화재의 4요소라고 한다. 가연물질(연료)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을 포함하며, 선박에서는 목재, 섬유, 연료유, 윤활유, 액화천연가스 등이 해당된다. 산소는 공기 중의 산소 외에도 산화제와 자기연소성 물질에서...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