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컴파일러구성2024.09.101.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특징 1.1.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개념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을 문장 단위로 번역하여 즉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비해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전체를 한꺼번에 번역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인터프리터는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바로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명령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인터프리터 방식은 프로그램 개발 및 디버깅 과정...2024.09.10
-
4. 다음과 같은 정규문법이 주어졌을 때 물음에 알맞게 풀이과정을 작성하시오. G = ( {S, A, B}, {0, 1}, P, S ) P : S → 0A | 1S A → 0S | 1B B → 0B | 1 (1) 정규문법을 정규표현으로 작성하시오2024.11.011.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1.1. 컴파일러 기법 컴파일러 기법은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서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즉,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서 컴퓨터에서 직접 실행 가능한 형태의 목적 프로그램을 출력해주는 번역기이다. 컴파일러의 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6단계로 나뉘어진다. 첫째, 어휘분석 단계에서는 소스 프로그램의 문자열을 토큰이라는 의미 있는 단위로 구분하는 과정이다. 이때 토큰에는 식별자, 리터럴, 키워드, 연산자, 구두점 등이 포함된다. 둘째, 구문분석 단계...2024.11.01
-
방통대 파이썬2024.10.141.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공통점과 차이점 1.1. 공통점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는 모두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고, 해당 코드를 실행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또한 번역 과정에서 코드의 오류를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보고해준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이와 같이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고 실행한다는 본질적인 역할을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차이점 1.2.1. 인터프리터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한 줄씩 소스코드를 해석하여 기계어로 변환하고 즉...2024.10.14
-
컴파일러 3장2024.11.271. 인터넷과 정보사회 1.1.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역할과 기능적 차이점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번역 시점과 실행 방식이다.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전체를 한꺼번에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번역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실행 속도가 빠르다. 또한 기계어로 번역된 실행 파일은 해당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최적화되어 있어 성능이 높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수정할 때마다 전체를 다시 컴파일해야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