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0개
-
기초공학 연습문제 7장2024.09.191.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1.1. 실즈와 리치의 교육공학 정의 실즈와 리치는 교육공학을 1994년에 "학습과 성과 향상을 위해 과정과 자원을 체계적으로 분석,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했다. 이들의 정의에 따르면, 교육공학은 학습과 수행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과정을 거치는 학문이다. 구체적으로 실즈와 리치는 교육공학을 다섯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분했는데,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가 그것이다. 설계 영역은 인지과정 연구결과를 반영한 메시지 디자인, 체계적인 교수체...2024.09.19
-
행동수정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이를 토론2024.09.301.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 비교 1.1. 행동주의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학습을 통해 형성되고 변화된다는 이론이다. 그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가 대표적인 개념이다. 고전적 조건화는 반응적 행동에서 특정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구체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이 이론은 러시아 생리학자 파블로프에 의해 제안되었다. 파블로프는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개가 자동적으로 타액을 내는 반사 행동이 벨소리와 같은 중성자극과 쌍을 이루어 조건반사가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2024.09.30
-
심리학의 이해2024.09.231. 심리학의 개념과 연구 영역 1.1. 심리학의 정의와 발달 심리학의 정의와 발달은 시대의 흐름과 함께 변화해왔다. 심리학은 "마음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되며,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의 한 분야이다. 초기 심리학은 마음의 작용과 내적 과정에 주목하였으나, 점차 외부로 표현되는 행동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가, 오늘날에는 마음과 행동을 모두 아우르는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심리학은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며, 관찰 가능한 행동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또한 주된 분석의 단위는 개인이며, 인간의 정신과정...2024.09.23
-
인지주의 이론의 개념과 내용2024.09.211. 서론 인지는 머리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지식 과정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인지적 접근방법은 행동주의 이론과는 다르게 우리 눈으로 관찰이 직접적으로 되지는 않지만 우리 두뇌 내에서 벌어지는 외부 감각적 자극의 변형, 부호화 혹은 기호화, 재생, 파지 혹은 인출이라고 하는 일련의 정보처리 과정을 연구한다. 인지적인 접근방법에서 행동적 접근 방법이 방법론적인 약점으로 인해 인간의 심리 연구에 핵심적 두뇌 연구를 간과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들은 인간의 두뇌 작용도 관찰을 직접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가 가...2024.09.21
-
인지치료의 이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각각의 이론들에 자신의 경우를 대입하여 기술해 보시오2024.11.051. 인지치료의 이론과 실제 1.1. 인지치료 이론 1.1.1.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은 내담자가 부정적 사고에 대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발한 치료 접근법이다. 이 인지치료는 현실적이고 직접적이며 단기적인 특징을 지닌다. 벡의 인지치료는 많은 행동 기법을 포함하며, 많은 이론가들은 이를 인지행동치료라고 본다. 치료자는 내담자를 움직이게 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도록 격려할 때 행동 기법을 사용한다. 벡의 인지치료에서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이해하고 역기능적 태도를 수정하기 위해 ...2024.11.05
-
행동주의심리문제의변화 ppt로작성해줘2024.10.281. 서론 본 글에서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이론에 대해 제시하고 각각의 이론이 실제 교육의 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접근하여 살펴볼 것이다. 또한 행동주의 이론과 인지주의 이론을 교육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우리는 여러 이론에 입각해 수업을 설계하고 교육 활동을 한다. 하지만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각 학습이론이 어떤 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성과를 이루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2.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및 분석 2.1. ...2024.10.28
-
평생교육방법에서 교수스타일과 학습스타일에 대해 설명하시오2024.10.211. 학습이론과 평생교육 방법론 1.1. 학습이론의 개요 평생교육방법론에서 말하는 학습이론은 평생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원리와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평생 교육을 받는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침과 전략을 제시하는 데에 활용된다. 평생교육은 일생 동안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과정이며, 학습이론은 이러한 학습의 과정과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하고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평생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개발한다. 학...2024.10.21
-
활동이론이란2024.10.031. 노인체육론 1.1. 노년기의 체육활동 및 생활만족감 1.1.1. 사회학적 노화이론 중 활동이론 활동이론은 노인이 후기 삶에 있어서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고자 노력한다는 점에서 성인기의 확정으로써 노년기를 바라본다. Havighurst(1963, 1968)의 성년기 삶에 대한 캔사스시 연구에 의하면 '잘 적응하는' 노인은 다양한 생산적인 역할을 하며, 자발적 조직에서의 활동을 통해 연령에 적합한 교체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Bengtson(1969)은 노인이 활동적일수록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자아개념, 그리고 적응력...2024.10.03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습이론2024.10.061. 학습이론의 이해 1.1. 학습이론의 배경 1.1.1. 행동주의와 구성주의의 철학적 시각 행동주의와 구성주의의 철학적 시각은 다음과 같다. 행동주의와 구성주의는 실재론이면서 객관주의를 견지한다. 실재론은 인식의 주체인 인간의 의식이나 지각에 관계없이 그 대상인 객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배우는 학습내용이나 지식은 학습자가 그것을 어떻게 인지했던 간에 학습자 외부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된다. 객관주의는 지식이 개별적 인가의 인식과 경험에 관계없이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보편적이며 객관적인 지식으...2024.10.06
-
브루너 학문중심 교육과정 연구2024.09.261. 서론 브루너(Jerome Seymour Bruner, 1915∼2016)는 주로 인지주의자,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교육과정학자로 불린다. 그는 미국 심리학 협회 회장을 맡고 하버드대에 인지연구센터를 창설하는 등 심리학 교수로서 많은 공헌을 했지만, 심리학은 그에게 있어 교육과정학에 대한 기반을 마련한 학문이었다. 브루너는 1933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듀크대학교에 들어가 심리학을 전공하였다. 1937년 학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 들어가 심리학을 공부했다. 1939년에 석사학위, 1941년에 고든 올포트(Gord...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