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프레임 서평2024.09.161. 들어가며 '인간의 삶은 곧 인간과 외부 환경세계와의 만남과도 같다. 사회심리학에 따르면 인간과 사회적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관계에서의 세가지 문제(issue)는 사회이해, 사회영향, 사회관계이다. 대인지각(Personal perception), 귀인(Attribution), 사회 추론(Social Inference)을 포함한 사회이해와 사회영향, 사회관계 모두에서 작용하는 마음의 기제가 바로 이 책에서 말하는 프레임(frame)이다. 우리가 프레임을 통해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서 우리가 세상에 어떻게 영향을 받고 반응하...2024.09.16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과 자기효능감, 사회학습이론의 평가와 시사점2024.09.191. 서론 인간의 복잡한 행동을 자극과 반응, 강화 소거 등의 조건형성이론만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유아가 능동적으로 주위에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므로 학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다른 사람들이 하는 행동들이 주위 세계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되므로 사회라는 용어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기본적 인지능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2.1. 사회학습이론...2024.09.19
-
할 수 있는 게 뭐노2024.09.261. 혼자만의 시간과 성공 1.1. 혼자 생각하는 30분이 성공을 이끈다 일에 필사적으로 매달리는 사람일지라도, 아니, 일에 진지하게 매달리는 사람일수록 의외로 자신의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쉽게 피로해지고 에너지가 바닥이 난다. 삶을 앞으로 진전시킬 연료를 자신 안에서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을 만드는 시간이 없는 것이다. 1분 1초를 바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라는 조언은 어떻게 보면 사치같이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시간을 일하는 시...2024.09.26
-
인지주의이론은학습자의행동자체보다는그행동을지배하는내적인정신활동에더많은2024.09.291. 서론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분석하고 정신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인간중심의 학문이다. 인간은 개인의 생각과 성향이 조금씩 다르고 완벽히 똑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과학적 실험과 관찰, 체계적인 접근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론을 입증하고자 한다. 심리학은 그 광범위하여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요소를 구분하여 각 이론을 연구하였는데, 그중에서 교육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천적 방법을 연구하는 것에도 활용되었다. 교육학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여러 가지 교육 현...2024.09.29
-
신경인지기능활성제2024.10.041.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1.1. 도파민계의 기능 도파민은 보상체계(reward system), 의욕체계(will system), 주의력(attention), 공격성, 학습과 관련된다. 도파민 신경경로 중 흑질-선조체 경로(nigrostriatal pathway)는 비수의적 운동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중뇌-피질 경로(mesocortical pathway)는 인지기능, 중뇌-변연계 경로(mesolimbic pathway)는 감정과 관련이 있다. 도파민은 정신분열병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정신분열병의 원인에 대한 가설 중 도파민 과활...2024.10.04
-
심리학에 대해 설명 하시오2024.11.041. 서론 심리학개론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 그리고 그러한 행동에 관련한 심리적, 생리적, 사회적 과정을 과학적인 차원에서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즉, 개인의 심리적인 과정만이 아니라 신체기능을 제어하는 생리적 과정 그리고 개인 사이의 관계와 사회적 과정까지 심리학의 연구대상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사람의 행동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이해하거나 설명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은 19세기 말에 철학에서 분리됨으로 인해서 발전하기 시작한 한 학문에 해당하는데 다른 학문에 비해서 그러한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다. 독자적인 학문으로 심리학을...2024.11.04
-
학습 전략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범주화2024.09.251. 정보처리이론과 기억전략 1.1. 정보처리이론의 이해 1.1.1. 인지과정과 인지전략 정보처리이론에서 '인지과정'은 특정 기억단계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기억단계로 전이시키는 기능을 하는 정신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지과정은 인지전략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인지전략은 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하며 인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지활동을 말한다. 즉, 인지전략은 정보처리 과정에서 특정 목표(이해나 기억)를 달성하기 위한 정신적 도구로, 의식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활동이다. 정보처리모형에 포함된 주요 인지과정으로는 '주의', '부호화'...2024.09.25
-
인간심리의이해2024.10.221. 심리학 개요 1.1.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은 단어 자체 의미 그대로 '마음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현대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심리학의 정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초기의 심리학은 주로 내향적이고 내성적인 접근을 취했지만, 점차 외부로 표현되는 인간의 행동을 중요하게 다루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 심리학에서는 마음과 행동을 모두 다루는 학문으로 정의된다. 심리학이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엄격한 정의, 분명한 ...2024.10.22
-
생활속의 심리학2024.10.121. 서론 나는 평소에 심리학과 관련된 다양한 기사를 읽는 것을 즐겨한다. 심리학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는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 로봇이 아니라 사람이기 때문에 언제나 이성적인 존재는 아니며, 간혹 감정에 휩싸여서 내가 평소라면 하지 않았을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는 비단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 뿐만 아니라 물건을 구매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심리학자들은 왜 사람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했고, 이러한 개념은 나와 같은 사람들의 일상...2024.10.12
-
인지이론이가진한계와 보완점2024.12.171. 행동수정의 기본 원리 1.1. 고전적 조건형성 1.1.1. 고전적 조건형성의 개념 고전적 조건형성의 개념은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Ivan Pavlov)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론으로, 특정 자극이 반복적으로 연합되었을 때 반응이 조건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먹이를 줄 때마다 종을 울리는 실험을 통해, 나중에는 먹이를 주지 않아도 종소리만으로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실험을 통해 파블로프는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CR)과 조건자극(Conditioned ...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