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문화안전소방위원회2024.09.131. 서론 현대사회는 기후변화, 경제적, 사회적 변경 등 재난환경이 변화하면서 재난으로부터 안전은 중요한 국가정책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사회안전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나타나고 있다. 안전문제가 일상화되면서 안전은 하나의 생활문화가 되었으며 안전을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안전문화가 정착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세월호부터 작년 할로윈 사고까지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2024.09.13
-
2000년 이후 국내 대형화재 인명사고 사례2024.09.261. 서론 1.1. 재난의 정의와 특성 재난(disaster)의 정의는 경제 발달 및 사회구조의 다변화에 따라 그 개념과 범주가 다양화되었지만, 공통적으로 날씨 등 자연 현상의 변화 또는 인위적인 사고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의 피해를 말한다. 재난은 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과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 및 사회적 요인에 의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재난으로 인해 입은 피해를 재해라고 볼 수 있다. 재해는 재앙으로 말미암은 피해로서 지진, 태풍, 홍수, 가뭄, 해일, 화재, 전염병 등으로 인하여 받게 되는 피해를 의미한다. ...2024.09.26
-
응급처치강사2024.11.131.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 1.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한 사람에게 회복되기 전까지의 심장 순환 기능을 보조해주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요 장기가 손상되며 소생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므로, 목격자에 의해 신속하게 시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적십자사에서는 만 16세 이상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내용은 응급처치의 필요성, 응급상황시 행동요령, 환자 확인,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이물질에 의한 기도 폐쇄 대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시간은 4시...2024.11.13
-
특급 소방2024.10.131. 서론 재난이라는 용어는 별의 불길한 모습을 상징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하늘로부터 비롯된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풀이된다. 과거의 재난은 홍수, 지진, 태풍과 같은 대규모의 자연재해를 의미하였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인위적으로 일어난 사고의 규모가 자연재해에 버금가거나 능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의 재난은 자연재해와 인위재난을 포괄하고 있다. 재난은 통상적으로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대규모의 사상자를 발생시키는데, 보통 예측할 수 없이 갑작스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최소한으로 하고자 많은 나...2024.10.13
-
간호연구 통계 논문 분석 연구2024.11.261. 간호대학생들의 재난간호 안전에 관한 문헌고찰 1.1. 서론 최근 1년 동안 대한민국에서는 규모 4.0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였다. 울산(2016. 07.05 규모 5.0)과 경주(2016. 09. 12 규모 5.1, 2016. 09. 12 규모 5.8, 2016. 09. 19 규모 4.5)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특히 경주에서는 규모 4.0이상의 지진과 규모 2.0~4.0 범위의 여진이 최근 1년간 100회 이상 발생할 정도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을 만큼 크고 작은 지진이 지속적으로 자주 일어나고 있다. 지진...2024.11.26
-
특급소방안전2025.02.051. 서론 1.1.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1945년~1961년 대한민국이 해방되고 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수많은 재난과 재해가 발생했지만 기록과 대책이 부실했다. 1948년 내무부가 재난정책의 주관부처가 되어 건설국 이수과가 풍수해대책을, 치안국 소방과가 소방대책을 맡았다. 이 시기 화재와 풍수해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으며, 1959년 태풍 사라로 인해 750명의 사망자와 662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1960년 이전까지 풍수해 관련 법령이 부재했으나, 1961년 태풍 사라 이후 국토건설청을 신설하고 하천법을 제정하...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