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개
-
경제학을 듣는 이유2024.09.221. 인문학과 경제학의 관계 1.1. 인문학의 의미와 실용학문과의 차별성 인문학의 의미와 실용학문과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은 문학, 철학, 역사 등 인간과 인간 사회의 문화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학습하는 학문이다. 즉, 인문학의 다른 의미는 인간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실용학문과는 반대되는 속성이라고 인식된다. 법학, 공학, 의학, 경영학 등 실용학문은 취업과 실질적인 생활에 직결되는 실용적인 지식을 학습하지만, 인문학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말 IMF 사태 이후로 인문학은...2024.09.22
-
한국사 관련 도서의 줄거리가 잘 정리되어있으먼 좋겄어2024.09.211.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1. 책 소개 이 책은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편)'이며, 저자는 채사장이다. 이 책은 저자가 2015년 국내 저자 1위를 기록하고 2016년에는 밀리언셀러 작가가 되었다. 현재는 글쓰기와 강연 등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인문학을 쉽게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 권으로 편안하게 즐기는 지식 여행"이라는 타이틀답게, 지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인류의 공통분모인 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 분야에 대한...2024.09.21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2024.10.051. 인문학의 가치 1.1.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는 인문학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인문학은 인간의 본질과 가치, 행복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인간다움을 규명하고 이해하는 것이 인문학의 주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는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한다. 즉 "나는 누구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통해 인간의 본질과 존재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2024.10.05
-
경제학이해 성찰일지2024.09.251. 인문학의 가치와 중요성 1.1. 인문학의 정의와 특징 인문학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은 인간과 인간 사회, 문화에 관한 학문으로, 인간의 삶과 존재에 대한 성찰과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인문학의 대표적인 분야로는 철학, 역사, 언어, 문학, 예술 등이 있다. 인문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객관적 사실 규명보다는 인간의 주관성에 초점을 맞추며, 인간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한다. 인문학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학은 인간중심적이다. 인간의 삶과 경험, 가치관과 이념 등 인간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2024.09.25
-
간호사로서 중요한 가치관2024.09.261. 간호전문 직관 1.1. 간호전문 직관의 필요성 간호전문 직관의 필요성은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데 있어서 간호의 체계화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생각으로 간호를 담당하는 것이다. 즉, 간호사 자신이 간호를 어떻게 바라보고 그 간호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환자에게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간호사 개인에게 직업관과 결합되어 자신이 왜 힘들면서까지 간호사로 계속 일하는지에 대한 의식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간호전문 직관은 조직 외적 요인인 일반적인 학교 교육을 포함하며, ...2024.09.26
-
인공지능 시대에 언어학자의 역할2024.09.101. 인공지능 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1.1. 인공지능의 발전과 인간 지능의 위협 인간은 자신을 닮은 로봇을 만들고 자신의 지능을 닮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복제해 왔으며,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진화했다. 2016년 전 지구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인간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 대국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제 인간은 인공지능을 상대로 인간 자신의 한계를 시험해야 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인간의 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혹은 그것을 뛰어넘는 자율적인 인공지능 프...2024.09.10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인상깊은2024.09.231.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1.1. 책 '를 통해 본 저자의 과학 공부와 인문학의 융합 책 '를 통해 본 저자의 과학 공부와 인문학의 융합"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문과 출신인 저자 유시민이 과학 공부를 하면서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인문학과 과학을 융합하여 풀어낸 작품이다. 저자는 그동안 정치, 경제, 역사, 헌법, 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 관련 책을 써왔지만, 이번에는 과학 영역까지 그 범위를 확장했다. 특히 유시민 작가는 이 책에서 과학을 통해 인문학의 담론을 새롭게 이해하고 성...2024.09.23
-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와 철학적 근거2024.10.211. 인문학의 필요성과 교양교육의 의미 1.1. 왜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가? 현대사회가 산업사회를 넘어 4차 산업혁명의 발전으로 정보화라는 새로운 문화사적 변화와 함께 과도한 경쟁 시대에 접어들었다.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는 정보전쟁으로 이어지고 개인을 넘어 범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과제로 평가되기도 한다. 지식기반 사회라고 할 수 있는 현대사회에서 모든 영역은 지식에 토대를 두고, 지식이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기본지표가 되기도 한다. 지식기반 사회에서 전문가는 특정한 분야에 국한된 사람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서 새롭...2024.10.21
-
역사란 나라의 동력을 잃었을때 이겨내는 힘을 가르쳐줍니다.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논하시오2024.10.161. 역사의 쓸모 1.1. 들어가며 우리보다 앞서 살았던 수많은 사람들의 선택과 결과를 보며 인생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면 어떨까. 바로 이 책 '역사의 쓸모'는 길을 잃고 방황할 때마다 그 답을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 최태성은 선택의 기로에 설 때마다 역사에서 답을 찾았다는 저자는 삶이라는 문제에 대한 가장 완벽한 해설서는 역사라고 말한다. 도저히 풀리지 않는 문제에 부딪쳤을 때 해설에서 도움을 얻듯, 우리보다 앞서 살았던 인물들의 선택과 그 결과가 담긴 역사에서 인생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2024.10.16
-
김상욱 모두를 위한 물리학2024.10.161. 책 소개 1.1. 『떨림과 울림』 『떨림과 울림』은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가 집필한 저서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을 인문학적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주의 시작인 빅뱅에서부터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각종 물리적 사건들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떨림'과 '울림'이라는 독특한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우주는 떨림이다. 정지한 것들은 모두 떨고 있다... 빛은 떨림이다... 세상을 떨림으로 가득하다. 인간은 울림이다. 수많은 떨림에 울림으로 반응한다."라고 밝히며...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