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배벽근육2024.09.221.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1. 소화 개요 소화는 음식물을 기계적, 화학적으로 분해한 후 영양분을 세포막을 통해 흡수하고 잔여물은 몸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와 관련된 일련의 기관계를 소화계통(digestive system)이라 한다"". 소화관은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연속되는 근육성 관이며, 입안, 인두, 식도,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맹장, 충수, 결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계의 주요 기능은 섭취, 운동, 분비, 소화, 흡수, 배설이다"". 섭취는 고체 및 액...2024.09.22
-
성인간호 호흡기계 문제2024.10.10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코와 부비동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콧구멍은 전정(vestibule)이라 불리는 공간이다. 이 부분은 피부와 털로 덮여 있다. 전정 뒤쪽의 코 점막은 점액을 분비하며, 비강 위쪽 부분에는 후각 상피세포가 있다. 코의 가운데에는 비갑개(turbinate)라고 불리는 구조물이 있는데, 이 부위에는 모세혈관이 많아 공기를 따뜻하고 습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부에 있는 빈 공간으로, 위치에 따라 이마굴(frontal sinus), 벌집굴(ethmoid sinus),...2024.10.10
-
간호와영양 고문사2024.10.081. 비효과적 기도청결로 인한 분비물 증가 1.1. 인두 후 농양 1.1.1. 인두의 구조와 기능 인두는 위에서부터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로 구분할 수 있다. 비인두는 인두의 위쪽 1/3에 해당하는 부위로 뇌의 기저부부터 입천장까지 이어진 부분이다. 구인두는 인두의 가운데 부위로 구강 뒤에 위치하며 연구개, 구개편도, 구개수, 설편도, 혀뿌리 등이 포함된다. 후두인두는 인두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아래는 식도와 연결되고 앞쪽에는 후두가 위치한다. 인두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음식물의 통로로 작용하여 삼킴 ...2024.10.08
-
흉막 구조와 기능2024.10.03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상부기도 1.1.1. 비강과 부비동 비강과 부비동은 상부기도에 속하는 구조물로, 호흡기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비강은 코 안쪽의 공간을 말하며,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 속의 빈 공간을 의미한다. 비강은 코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상부에는 후각신경(제1뇌신경)이 분포되어 냄새를 맡는 기능을 담당한다. 비강의 내측벽에는 3개의 비갑개가 있는데, 이는 비강 내로 들어온 공기가 이를 따라 흐르면서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비강 내 점막에는 혈관이 풍부하여 ...2024.10.03
-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2024.10.03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소화의 정의와 소화기계의 구성 소화란 음식물을 기계적,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작은 분자로 나누고, 이렇게 분해된 물질을 세포막을 통해 흡수하여 영양분으로 활용하며, 남은 찌꺼기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소화기계는 이러한 소화 과정을 담당하는 일련의 기관들로 구성된다. 소화기계는 크게 위장관과 부속소화기관으로 나뉜다. 위장관은 구강,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9m의 길이를 가진다. 부속소화기관에는 치아, 혀, 침샘, 간, 이자가 포함된다. 소화기...2024.10.03
-
기체교환2024.10.021. 호흡기계 해부생리 1.1. 상부호흡기계 1.1.1. 비강 비강은 코 안을 이루는 공간으로, 코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다. 비강은 들숨과 날숨의 주요 통로이며, 호흡 시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강 내부는 점막으로 덮여 있는데, 이 점막에는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다.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은 이 점막에서 여과되고, 점액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비강의 점막에는 섬모상피세포가 존재하여 이물질을 인두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2024.10.02
-
산소전달체계 종류에 따른 설명과 장,단점2024.11.10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비강, 부비동 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며, 비강 상부에는 후각신경이 분포되어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비중격과 비강의 아래쪽 벽은 혈액이 풍부한 점막으로 덮혀 있다. 비강의 내측 벽은 3개의 비갑개가 있으며, 흡입된 공기는 코털로 여과되고 점막으로 습화되며 풍부한 혈관망으로 데워진다.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의 빈 공간으로 공기가 차 있으며 발성 시 공명을 하고 두개골의 무게를 가볍게 한다. 사골동, 전두동, 나비굴, 상악동 등이 있고 점막은 편평상피세포로 덮여 있다. 1.2. 인두 ...2024.11.10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및간호사정2024.09.02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상부호흡기계 1.1.1. 코와 부비동 코와 부비동은 상부호흡기계의 구성요소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가온하는 역할을 한다.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의 콧구멍인 전정이 있다. 전정 뒤의 점막은 점액을 분비하며, 전정을 따라 있는 비갑개는 모세혈관이 많아 공기를 습하고 따뜻하게 유지한다. 또한 코 점막의 일부는 후각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후각 기능을 담당한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의 빈 공간으로, 위치에 따라 이마굴(전두동), 벌집굴(사골동), 나비굴(접형동), 상악동...2024.09.02
-
만성비염2024.08.311. 이비인후과 질환 개요 1.1. 귀의 구조와 기능 귀(Ear)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다. 외이는 이개(auricle), 외이도(external acoustic meatus), 고막(tympanic membran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개는 누두상이고 피부로 덮인 연골로 되어 있으며, 음파를 모아 외이도 내로 도입하여 고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외이도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와 공기를 고막에 전달하며, 내측 피부는 연골막에 붙어 이동성이 거의 없어 염증이 생기면 심한 통증을 ...2024.08.31
-
구강해부학2024.08.221. 서론 1.1. 구강 해부학 및 구조 구강은 입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소화기계의 시작 부분이다. 구강은 크게 치아, 혀, 침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구강 내 치아는 총 28개로,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14개씩 배치되어 있다. 치아는 음식물을 씹는 기계적 소화 작용을 담당한다. 특히 제3대구치인 사랑니는 부분적으로 맹출되어 있어 치은조직과 교통하며 음식물이 축적되기 쉬워 감염의 위험이 높다. 혀는 구강저를 형성하며 미뢰를 포함한 유두들이 있어 미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