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청각장애의 정의2024.11.081. 청각장애의 정의와 원인 1.1. 청각장애의 정의 청각장애는 의학적인 관점에서 청력손실 정도에 따라 정의되며, 교육적으로는 청력손실이 언어발달과 교육 성취와 같은 학업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의학적 정의에 따르면 농(deaf)은 보청기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귀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할 수 없을 정도(보통 70dB 이상)로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며, 난청(hard of hearing)은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귀로 말을 들어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려운...2024.11.08
-
선천적 청각장애인 에 대한 교육에서 분리주의와 통합주의에 대한 견해2024.10.111.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적 중재 1.1. 구화교육 구화교육은 청각장애 아동이 일반 사회의 언어, 즉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어를 배워야 한다는 교육철학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수화와 같은 다른 의사소통 방법의 사용을 허용하면 안 된다고 이 방법에서는 말하고 있다. 구화교육에서는 직접적이고 매우 엄격한 말소리 교육을 통해 전형적인 구어를 발달시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적절한 보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리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시되며, 부족한 부분은 청능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보완한다. 청능...2024.10.11
-
청각장애 아동 교육에서 ‘인공와우수술’과 이를 통한 조기교육의 중요성2025.02.101. 서론 1.1. 청각장애 아동의 특성 청각장애 아동은 여러 차원에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먼저, 언어 차원에서 보면 언어가 모든 발달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청각장애를 가진 아동은 사회와 직업적인 적응을 잘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업 성취도 또한 일반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많이 있다. 청각장애 아동들의 주요한 특성은 언어발달 지체이다. 이는 청각장애로 인하여 듣기 능력이 결손됨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이 세상을 지각하며 해석을 하는 것과 사고를 하며 행동을 통제하게 되는 것에 필요한 능력도 지체가 될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