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참된그리스도인2024.09.151. 서론 1.1. 새신자 반의 배경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 생명이 태어나 장성한 어른이 되기까지 필요한 것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저자는 참된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죄의 회개와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영접하므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믿음으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구원의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해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성도들과의 관계에서도 신앙 안에서 교제하므로 자기의 영적인 부분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권면하고 있다. 저자는 전도에 대해 강력하...2024.09.15
-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의 기본가정과 주요개념 및 상담기술을 설명하고 인간중심상담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제시하시오2024.09.211. 서론 인간중심상담은 내담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를 목표로 삼기보다는 내담자 인간 그 자체를 목표로 잡고 상담을 추진하는 것이다. 또한, 내담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는 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제대로 할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상담기술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인간 중심적으로 상담하는 방법은 단순히 이론적인 기법을 통해서 진행하는 것이 아닌 상담자의 자질이나 태도적인 정서적 교류를 통한 평가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진실성 ...2024.09.21
-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2024.10.13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견해 - 아리스토텔레스의 사회적 동물론 1.1. 이성 중심의 인간관: 인간 본성의 근본적 특징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규정하며, 이성을 인간의 본질적인 특징으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이성을 지닌 존재이며, 이성은 인간의 행동을 이끄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동물은 본능에 따라 움직이지만, 인간은 이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결정한다. 인간의 이성은 크게 두 가지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는 논리적 추론의 능력이다. 인간은 이성을 통해...2024.10.13
-
필경사 바틀비2024.10.281. 「필경사 바틀비」와 「팔도기획」에 나타난 외로움의 해석 1.1. 「필경사 바틀비」: 인간의 고독과 삶의 유한성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에서 바틀비는 변호사인 화자의 시선을 통해 묘사된다. 소설에서 바틀비는 변호사의 정당한 요구에 대해 "그렇게 안 하고 싶습니다"라는 어구만을 반복적으로 내뱉으며 화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이러한 전기 형식의 소설에서 화자와 대상 간의 거리감은 마치 독자와의 거리감과도 같다. 이야기의 첫 문단을 시작하며 변호사는 자신의 필경사인 바틀비에 관해 "내 놀란 두 눈으로 본 것, 그것이 결말...2024.10.28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2024.11.091.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1. 책소개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러시아태생의 소설가이자 비평가, 사상가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가 집필한 장편소설로, 1800년대의 시대를 배경으로 카라마조프가의 가장인 표도르의 죽음을 중심으로 돈과 사랑에 얽혀 복잡한 문제들이 나타나는 카라마조프가의 스토리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도스토옙스키의 약 40여년에 걸친 문학적 역량을 축적한 작품이며 유작으로 엄밀히 말하면 미완성작이나 그 가치는 전혀 바래지 않은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1.2. 핵심 줄거리 요약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술주정...2024.11.09
-
페스트 독후감2024.12.131. 소개 "페스트"는 프랑스 작가 알베르 카뮈가 1947년에 발표한 소설이다. 이 작품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작가가 겪었던 고난의 경험을 토대로 쓰였다. 카뮈는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통찰과 성찰을 제시하고자 했다. 소설의 배경은 알제리의 가상 도시 오랑이다. 이 도시에서 발생한 페스트 전염병은 도시를 고립시키고 주민들을 고통 속에 몰아넣는다. 주인공 라므베르는 이 과정을 지켜보며 인간 존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된다. 작가 카뮈는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의 근본적인 조건과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2024.12.13
-
인간과 교육2024.10.141. 교육과 인간 1.1. 교육과 인간의 관계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자기가 태어난 사회가 이미 가지고 있는 언어, 문화, 사고·행동 방식을 습득해 그 사회에 적응해 성장하고 일생을 마치고, 이러한 사회화를 하기 위해서 인간은 교육적 존재로 교육으로 자신에게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을 계발하고 그것을 실현해 나간다. 이 때문에 교육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인간에 따라 가능성과 가소성은 매우 크고 다양해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을 찾는 것에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인간으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교육적 존재'이며...2024.10.14
-
김영하 작가의 작별인사로 독후감2024.08.251. 소개 이 소설 『작별인사』는 김영하 작가의 장편소설로, 그의 대표작 『살인자의 기억법』 이후 9년 만에 발표된 신작이다. 작가 김영하는 1968년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성장했다. 『거울에 대한 명상』으로 1995년 등단한 이후, 『살인자의 기억법』, 『너의 목소리가 들려』, 『퀴즈쇼』, 『빛의 제국』 등 다수의 장편소설과 단편집을 발표하며 한국 문단의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작품들은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작별인사』는 그리 멀지 않은 미래를 배경으로 한 SF 소설이다...2024.08.25
-
소년이 온다 독후감2024.10.211. 소개 이 소설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에서 발생한 민주화운동을 다루고 있다. 작품의 배경은 이른바 '5.18 민주화운동'으로, 전두환을 필두로 한 신군부의 군사 쿠데타에 반대하여 일어났던 민주화 운동이다. 이 운동은 군의 발포로 인해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이러한 참혹한 사건들이 소설의 중심이 된다. 소설의 주인공은 15살의 중학생 동호로, 친구 정대의 죽음을 목격하게 되면서 시민군에 참여하게 된다. 도청에서 시신을 관리하던 동호는 도청 수비대로 남아 계엄군과 맞서 싸우다 결국 희생당한다. 동호의 죽음 이후 ...2024.10.21
-
우리 사회가 개인이 갖는 다양성을 인정하기 위해 해야 할 노력을 써주세요2024.12.101. 하이데거의 '나'의 인식과 현대사회 발전 1.1.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나'의 발견 하이데거는 인간의 본질이 '존재'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존재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고민하는 존재이다. 다른 생물들은 단순히 세상에 '있을 뿐'이지만, 인간만이 자신의 존재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탐구할 수 있다는 것이 하이데거의 핵심 주장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를 타인들과 비교하거나 사회적 역할, 지위 등을 통해 정의하려 한다. 즉, 자신을 규정하는 데에 외적 조건들에 의존하는 경...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