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멋진신세계 서평2024.10.241. 서론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1932년 출간된 대표적인 디스토피아 공상 과학 소설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고도로 발달한 과학 기술이 사회를 통제하며 인간의 욕망까지 조절하는 가상의 미래 세계를 정교하게 그려내고 있다. 작품 내에서 묘사된 미래 사회는 보편적 최고가치들이 완벽한 기술적, 정서적 통제 아래 구현된 이상적인 세계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불편함이 느껴지는 불완전한 유토피아로 인식된다. 또한, 작품에서 묘사된 기술적 발전과 사회의 통제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는 도전과 연결되어 있다. 현재 헉슬리의 세계와 우리...2024.10.24
-
테크노폴리2024.10.221. 서론 1.1. 기술집약적 사회와 테크노폴리 현대 사회는 기술집약적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생각으로만 존재했던 기술들이 현실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를 하나의 가상공간으로 연결하는 인터넷, 시속 300km를 육박하는 고속 전철 등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기술들이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 사회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개념은 "테크노폴리"이다. 테크노폴리는 모든 형태의 문화와 생활이 기술에 종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2024.10.22
-
밑바닥에서2024.09.301. 막심 고리키의 『밑바닥에서』 1.1. 작가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키(Максим Горький, 1868년 3월 16일 - 1936년 6월 18일)는 "최대의 고통"이라는 뜻을 지닌 그의 필명으로 유명한 러시아의 작가이다. 그의 본명은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페시코프(Алексей Максимович Пешков)로, 1868년 3월 16일 러시아의 볼가강 연안 도시인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고리키는 가난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3살 때 아버지가 사망하자 외가에서 자랐지만, 11세 때 어머니가 재혼하여 모스크바로...2024.09.30
-
박범신 소금 감상문2024.10.101. 소개 박범신의 소설 『소금』은 '붙박이 유랑인'이라 불러도 좋을 아버지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작가는 1980년대 후반 급격한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인한 폐해를 냉혹하게 그려내면서도, 세월이 흘러 당신의 굽어버린 등을 바라보며 아버지들의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준다. 작품의 중심인물 선명우는 가난한 염부의 셋째 아들로 시작하여 부유한 집안의 딸 김혜란과 결혼하게 되고, 열심히 일하며 점점 경제적 지위를 높여갔다. 그러나 아내와 세 딸의 소비 수준을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결국 췌장암 진단을 받게 된다. ...2024.10.10
-
구보씨의 일일 독후감2024.09.251. 소개 이 소설은 박태원이 쓴 대표작 중 하나로,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고민과 갈등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 '구보'는 소설가로 묘사되며, 작가 박태원의 분신과도 같은 인물이다. 구보는 경성 거리를 배회하며 자신의 일상을 되돌아보고 고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보는 소설가로서 활동하고 있지만, 삶의 방향성을 잃고 방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 지식인들이 겪었던 고립감과 무력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소설에서는 구보가 전차를 타고 돌아다니며 주변 사람들을 관찰하고 자신의 내면을...2024.09.25
-
삼포가는길토론주제2024.11.061.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1.1. 고향의 의미 1.1.1. 정서적 고향의 상실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에서 정서적 고향의 상실은 근대화와 산업화의 과정에서 전통적인 삶의 터전이 파괴되고 사라지면서 발생한다. 작품 속 주인공 정씨는 오랜 부랑 생활 끝에 고향 삼포로 돌아가고자 하지만, 이미 삼포는 개발 사업으로 인해 송두리째 사라져 버린 상태이다. 정씨가 그리던 아름답고 유토피아적인 삼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 것이다. 정씨에게 삼포는 단순한 지리적 고향이 아닌 오랜 방랑 끝에 마음의 안식처를 찾을 수 있는 정신적...2024.11.06
-
밑바닥에서 분석2024.10.181. 서론 1.1. 작가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끼(Максим Горький)는 본명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페쉬코프(Алексе́й Макси́мович Пе́шков)로, 1868년 3월 16일 러시아 볼가강 연안의 도시 니즈니 노브고로드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목수였고 어머니는 작은 염색공장을 운영하는 집안의 딸이었다. 3살 때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와 함께 외가에서 자랐으나, 어머니가 재혼하여 모스크바로 떠나면서 11세 때 외할머니에게 의탁하여 성장했다. 초급학교를 3년 다니다가 가난으로 중퇴한 고리끼는 구두수선공, 제...2024.10.18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독후감2024.10.311.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1.1. 미래 사회의 과학기술 발달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미래 사회의 과학기술 발달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것이다. 우선,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인간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다. 인공지능, 로봇공학, 나노기술, 생명공학 등의 발전으로 인해 질병 치료, 노동 효율성 증진, 여가 생활 향상 등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은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달은 여러 윤리적 딜레마를 야기할 수 있다....2024.10.31
-
파스쿠알 두아르테 가족2025.01.131. 작가 소개 1.1. 카밀로 호세 셀라의 생애와 문학 활동 카밀로 호세 셀라는 1916년 5월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의 중류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페인 내전을 전후하여 마드리드 대학에 다녔으며, 내전 기간에는 프랑코 군대에서 복무하였다. 내전이 끝난 후 셀라는 문학 활동에 전념하기 시작하였다. 셀라는 소설, 단편, 기행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구성이나 등장인물 성격 묘사보다는 소품, 세부묘사, 혁신적인 언어구사가 특징이었다. 그의 작품 속에는 현실을 변형시켜 기괴한 인물을 만들어내는 경향이 드러...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