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2024.10.051. 인문학의 가치 1.1.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는 인문학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인문학은 인간의 본질과 가치, 행복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인간다움을 규명하고 이해하는 것이 인문학의 주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인간다움에 대한 탐구는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한다. 즉 "나는 누구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통해 인간의 본질과 존재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2024.10.05
-
작별인사 독후감2024.10.191. 소개 김영하의 장편소설 『작별인사』는 기술이 고도로 발전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주인공 철이는 IT 기업 연구원인 아버지와 함께 평화롭게 살아가던 소년이다. 그러던 중 갑자기 '무등록 휴머노이드'로 밝혀져 수용소로 끌려가게 되면서, 철이는 자신이 인간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소설은 인간과 인공지능, 휴머노이드가 공존하는 세상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주인공 철이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철이는 자신이 인간이 아니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지만, 점차 휴머노이드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삶과 고민을 깊이 있게...2024.10.19
-
인문학의 이해2024.10.131. 인문학의 이해 1.1. 사고하는 인간 인문학의 본질이 무엇인가? humanum(라틴어) = 인간다움 > 인문학의 주제 >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학문이 인문학이다.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로버트 램지(Robert Ramsey)에 따르면 "세계 많은 언어들 중에 인간의 발음을 가장 많이 발음할 수 있는 것이 한글이다." 인간다움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되는가? 주마간산(走馬看山)이라는 한자성어를 통해 알 수 있다. 달리는 말 위에서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일이 몹시 바빠서 이것저것을 자세히 살펴볼 틈도 없이 대강대강 훑어보며 지...2024.10.13
-
초등 도덕 이야기수업 모형수업 지도안2024.11.141. 도덕 수업을 통한 가치 교육 1.1. 내러티브 기반 도덕 교육 1.1.1. 도덕이야기 수업 모형 도덕이야기 수업 모형은 교사가 도덕규범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경험했던 도덕적 갈등이나 도덕적 선택의 이야기를 스스로의 말로 구성하여 자신의 도덕적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 규범을 내면화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주안점은 도덕적 이야기를 통해 가치규범과 덕에 관한 이해를 심화하고 도덕적 문제해결에 필요한 사고력과 판단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도덕적 모형의 제공과 감동감화를 통해 도덕적 심정을...2024.11.14
-
ai는 인문학을 먹고산다 독후감2024.11.081. 소개 이 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가속화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향후 우리 사회와 문화, 경제, 기술 등 전반적인 변화의 속도를 더욱 앞당겼다고 진단한다. 특히 AI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와 인간의 삶에 미칠 영향을 예견하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핵심 역량으로 "인문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닌 인문학...2024.11.08
-
인문학의 이해2024.10.251. 인문학의 이해 1.1. 사고하는 인간 인문학의 본질이 무엇인가? 인문학이란 "humanun"(라틴어)으로, 문자 그대로 "인간다움"을 뜻한다. 따라서 인문학은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언어는 곧 존재의 집이며, 인간다움을 잃어버리면 인간이 주마간산(走馬看山)과 같은 상태에 빠지게 된다. 주마간산은 달리는 말 위에서 산천을 대충 훑어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인간이 급박한 현실에 휩싸여 자신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고 말했는데, 이는 자신을 발견하지 못...2024.10.25
-
빅컨셉 페어링2024.12.041. 자본주의와 사회복지 1.1. 자본주의의 역사와 복지국가 형성 자본주의의 역사와 복지국가 형성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본주의는 봉건제도가 해체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계층 간 격차가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가 빈곤층을 지원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자본주의의 시초는 15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상업자본주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는 해외 식민지 개척과 상품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자본 축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산업자본주의...2024.12.04
-
공자사상2024.09.031. 공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 1.1. 서론 오늘날 현대 우리사회는 지극히 냉철한 개인주의, 이기주의, 자본주의와 도덕적 타락, 인간성 상실 등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인간적인 정이 피어나기는커녕 서로의 이웃을 잘 알지 못하며, 여러 묻지마 범죄로 인하여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먼저 의심하게 되며, 사람을 처음 대할 때에도 웃는 얼굴이 아닌 의심의 눈초리로 먼저 보게 되는 것이 현대의 우리 사회이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본 우리 사회에서는 상식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거나 또는 부모가 자식을 살해하는 기사와 뉴...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