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메밀2024.09.281. 서론 문학 작품에 있어 문체의 개성과 적절성, 그리고 필력의 우수성은 작품의 전반적인 플롯이나 캐릭터성과 비견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물론, 필력과 문체에 지나치게 집중한 작품더러 '기교를 부린다'며 선호하지 않는 독자도 분명히 존재하나, 탄탄하고 설득력 있는 플롯과 매력적인 캐릭터에 더불어 훌륭하고 미려한 문체와 필력이 어우러진다면 작품은 더욱 풍부해지고 다채로워진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학 작품에 대해 학습함에 있어 문학 작품에 적용된 문체와 그러한 문페를 표현해낸 작가의 필력의 수준에 대...2024.09.28
-
메밀꽃필무렵2024.11.081. 이효석의 생애와 작품 1.1. 이효석의 생애 이효석은 1907년 2월 23일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한성사범학교 출신으로 교직에 있었던 부친 이시후와 성결교단 집사였던 모친 강홍경 사이에서 1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중인 1928년 잡지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실리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사회주의 운동에 동조하는 경향의 작품을 펴냈다. 경성제국대학 재학시절 이효...2024.11.08
-
메밀꽃필무렵 영화2024.11.081. 이효석 작가와 「메밀꽃 필 무렵」 1.1. 이효석 작가 소개 이효석(李孝石, 1907년 2월 23일 ∼ 1942년 5월 25일)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호는 가산(可山)이며, 본관은 전주 이씨 안원대군파이다. 김동리는 그의 작풍에 대해 '소설을 배반한 소설가'라는 평을 내렸는데, 이는 소설의 분위기를 잡는 데 뛰어났다는 의미이다. 이는 그의 작품 중 「메밀꽃 필 무렵」에 잘 나타나고 있다. 이효석은 1907년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한성사범학교 출신으로 교직에 있었던 부친 이시후와 성결교단 집...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