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핀치의 부리2024.10.141. 이보디보(Evo-devo)와 생명체의 진화 1.1. 이보디보의 정의 이보디보(Evo-devo)란 진화발생생물학(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을 부르는 말로, 발생에서의 변화 결과로 진화를 조명하는 학문의 분야이다. 생명체 간의 차이는 발생의 차이로 추적가능하며, 이 차이는 두 분기형에 공통적이거나 이미 존재하는 부위의 변형으로 새로운 부위가 발생한 결과라는 것이 주요 논리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인간과 다른 동물들은 거의 동일한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 사이의...2024.10.14
-
위선종 간호진단2024.10.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위선종은 위용종 가운데 약 10%를 차지하며, 정상상피세포가 아닌 비전형적인 원주세포로 이루어져있다. 세포가 정상상피세포에 비해 다른 정도에 따라 저등급과 고등급으로 분류된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 단계로 취급되기도 하는데 적게는 8%에서 많게는 59%까지 위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모든 위선종이 위암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므로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치료를 결정하게 된다. 병변의 크기와 위치, 동반된 암의 침범 정도에 따라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024.10.16
-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2024.10.091. 위암의 이해 1.1. 정의 및 유형 위암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adenocarcinoma)이 98%를 차지한다. 위선암은 위점막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것으로, 암세포들이 샘조직 고유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는 경우 분화도가 좋고, 조직의 형태와 세포 모양을 알아보기 힘든 경우 분화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화도가 나쁜 경우 림프절 전이가 많고 암이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위선암은 점막에서 성장하기 시작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위벽을 침범하고,...2024.10.09
-
위암 간호과정2024.11.2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8년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암 발생률 통계자료에 따르면, 위암(57.1%), 폐암(55.8%), 대장암(54.4%), 유방암(46.1%), 간암(30.7%), 자궁경부암(6.8%) 순으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위암은 한국인을 대표하는 암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반해 2019년까지의 위암으로 인한 전년도 대비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는 의학 기술의 발달뿐 아니라 대상자와 보호자들의 위암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20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