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중학 논술 동물실험을 하지말아야 한다 찬성하다에 근거하는 3가지 주장2024.10.111. 서론 논증이란 어떤 주장이 진리임을 알려진 명제나 이미 확정된 명제를 근거로 하여 밝히는 과정이다. 논증이 제대로 되려면 주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단순한 주장은 논증과 같은 사유의 과정이나 논리적 절차가 없이 독립되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논증은 반드시 명제의 무리들로 구성된다. 즉 논증은 구조의 성격을 지닌다. 하나의 논증은 언어 기호로 이루어진 명제와 논거와 추론으로 이루어진다. 논증에서 어떤 글이나 명제가 내세우는 것이나 증명하고자 하는 바를 '주장', '결론'이라고 부르며, 그것들의 근거를...2024.10.11
-
날씨 단원 교안, 한국어 이유 문법 지도안2024.10.031. 한국어교육 '-아서/어서/여서(이유)' 수업 계획 1.1. 수업 개요 수업 개요는 다음과 같다. 이번 수업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아서/어서/여서(이유)' 표현을 학습하는 단원이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 4명(옌핑, 줄리안, 유키, 말빈)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에서는 '-아서/어서/여서'의 의미와 형태를 이해하고, 날씨 관련 표현에 이를 활용하는 것을 학습 내용으로 한다. 수업 방법으로는 의미 및 형태 제시, 기계적 연습, 유의미한 연습, 짝 활동을 통한 발표 등...2024.10.03
-
초급 한국어 수업교안2024.10.221. 모의수업 교안 1.1. 학습 문형 A/V-아서/어서 (이유) 'A/V-아서/어서'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아서'와 '-어서'는 후행절의 행동이나 상태의 이유를 나타낸다. 즉, 선행절의 상황으로 인해 후행절의 행동이나 상태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가 고파서 식당에 갔다"에서 "배가 고프다"는 선행절이고 "식당에 간다"는 후행절이다. 선행절의 상황인 "배가 고프다"로 인해 후행절의 행동인 "식당에 간다"가 발생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커피를 마셔서 잠을 잘 수 없었다"에서 선행절의 상황...2024.10.22
-
모의수업지도안v-(으)러가다2024.10.171. 문형 선정 및 활용 1.1. 인적사항 이름은 아이디이고, 학번은 없다. 이 정보는 문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1.2. 교재 및 문형정보 1.2.1. 교재정보 교재정보는 서울대한국어 2A이며, 저자는 서울대 언어교육원이고 출판사는 ㈜투판즈로 2013년 5월 10일에 출판되었다. 이 교재는 외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로, 다양한 일상 대화 상황을 통해 언어 기능과 문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교재에서는 -(으)니까 문형을 다루는데, 이는 이유와 원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초급 학습자...2024.10.17
-
-느라고와 -아서/어서2025.02.041. 서론 1.1. 동사 '-느라고'의 개념과 특성 '-느라고'는 동사 앞에 결합하여 앞 문장이 뒤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낸다. '-느라고'는 동사에 결합할 때 받침이 있는 경우 '-느라고', 받침이 없는 경우 '-느라고', 'ㄹ'을 포함한 경우 'ㄹ'이 탈락하고 '-느라고'가 결합한다. 보통 '-느라고'가 사용된 경우 뒤의 문장이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동일해야 하며, '-았-', '-었-', '-겠-' 등의 과거나 미래 시제와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느라고'는 '-아...2025.02.04
-
-느라고와 -아서/어서2025.02.041. 느라고와 아서/어서 1.1. 느라고의 개념과 특징 느라고의 개념과 특징이다. 동사에 결합하여 앞 문장이 뒤 문장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낸다. 동사에 받침이 있을 때는 '받다 → 받느라고'처럼 '-느라고'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때는 '가다 → 가느라고'처럼 결합한다. 또한 일부 동사는 'ㄹ'이 탈락하여 '만들다 → 만드느라고'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보통 앞 문장의 내용이 뒤 문장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을 때 사용하며,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같아야 한다. 과거나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았/었-, -겠-'과...2025.02.04
-
느라고2024.09.041. 동사 '~느라고'의 문법 1.1. 동사 '~느라고'의 결합 "동사 '~느라고'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동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다르게 결합한다. 받침이 있는 동사의 경우 동사 어간에서 '-다'를 떼고 '-느라고'를 붙인다. 예를 들어 '먹다'는 '먹느라고'가 되고, '가다'는 '가느라고'가 된다. 받침이 없는 동사의 경우에는 그대로 동사 어간에 '-느라고'를 붙인다. 예를 들어 '보다'는 '보느라고'가 된다. 또한 일부 동사 중 'ㄹ'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만들다'는 '만드느라고'가 된다. 이처럼 동사 '~느라고...2024.09.04
-
한국어 참관보고서 6주2024.10.271. 참관보고서(6주) 1.1. 'V-(으)ㄴ적이 있다/없다', 'V-았/었다가'/ 'N-(이)라서' 학습 'V-(으)ㄴ적이 있다/없다'는 어떤 동작을 가끔씩 하거나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 책을 빌린 적이 있다"와 같이 불특정한 시간에 책을 빌렸다는 것을 표현한다. 또한 '없다'를 사용하면 그 동작을 해본 적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V-았/었다가'는 어떤 동작을 했다가 다시 한 번 더 하게 되었거나 다른 동작을 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찾았다"와 같이 ...2024.10.27
-
v지만 초급 교안2024.09.181. 문법 학습을 통한 한국어 능력 향상 1.1. A/V-(으)니까 & N(이)니까 'A/V-(으)니까 & N(이)니까'는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 문법은 형용사, 동사, 명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데, 받침이 없거나 받침이 'ㄹ'인 경우에는 '~니까'로, 받침이 있는 경우에는 '~으니까'로 사용한다. 'A/V-(으)니까'는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형용사나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이를 통해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에 대한 이유나 근거가 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가 좋으...2024.09.18
-
논증의 탄생2024.10.011. 논증의 이해 1.1. 논증의 정의와 구성 요소 논증이란 어떤 주장이 진리임을 알려진 명제나 이미 확정된 명제를 근거로 하여 밝히는 과정이다. 논증이 제대로 되려면 주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단순한 주장은 논증과 같은 사유의 과정이나 논리적 절차가 없이 독립되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논증은 반드시 명제의 무리들로 구성된다. 즉 논증은 구조의 성격을 지닌다. 논증에서 어떤 글이나 명제가 내세우는 것이나 증명하고자 하는 바를 '주장', '결론'이라고 부르며, 그것들의 근거를 '논거' 또는 '전제(pr...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