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소련의 대한 정책과 북한 분단 질서 형성2024.12.101. 소련의 대한 정책과 북한에서의 분단 질서 형성, 1945~1946 1.1. 종전 이전 소련의 한국문제 인식과 정책 구상 1.2. 종전 이후 소련의 대한 정책 (1945. 8~12. 말) 8월 8일 소련의 선전포고 이후 만주의 일본 관동군은 예상회로 쉽게 패퇴하였으며, 소련군은 제1단계의 만주관동군 궤멸작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한반도로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그 진출의 한계선은 미국이 8월 15일 소련과 중국에 대해 동의를 구한 '일반명령 제 1호'에서 획정된다. '일반명령 제1호'는 일본군의 항복 접수에 관하여 중국·대만 ...2024.12.10
-
헌법 제정과 개정2024.09.251. 헌법 제정의 의의와 특징 1.1. 헌법 제정의 의의 헌법 제정은 사회공동체를 정치적 통일체인 국가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법적인 기본질서를 마련하는 행위이다. 즉, 실질적으로는 최초로 국가 체제를 구축하는 법 창조행위를 의미한다. 형식적으로는 헌법 제정권자가 실정법규범의 공백상태에서 새로운 법 규범의 확립을 위하여 성문 헌법전을 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헌법 제정은 국가의 근간이 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법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통치구조를 규정하여 국가권력의 정당성과...2024.09.25
-
민주화 이전의 한국의 보수주의2024.10.011. 이승만 국부론과 대한민국 건국절 논란 1.1. 이승만 국부론의 시작 이승만 국부론의 시작은 최근 수년간 우리 사회에서 지속되어 온 건국절과 관련한 뜨거운 논쟁에서 비롯되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건국 60년, 우리는 '자유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싸워왔다"고 발언하며, '건국'이라는 개념을 역사적 차원에서 정치적인 이념 논쟁의 장으로 끌어들였다.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6년 광복절 행사에서 '광복 71주년,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언급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19...2024.10.01
-
독립정신 감상문: 이승만 사상과 독립2024.10.131. null 『독립정신』은 감옥에 갇힌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04년 쓴 책으로, 민족계몽을 가장 큰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당시 조선의 정세와 서양 각국의 행동을 명쾌하게 분석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이 처한 상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은 미국을 우리나라가 앞으로 걸어야 할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영국의 식민지에서 출발한 미국이 독립을 이뤄내고 세계 속에서 강대국이 되었으며, 국민의 권리를 존중하는 모범적 국가가 되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이승만은 미국에 대해 다른 ...2024.10.13
-
중앙대 한국사2024.10.18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1.1. 반민특위의 등장배경 1945년 8월 15일 광복, 우리 민족은 고통스러운 일제의 지배를 벗어나 진정한 자유와 권리를 되찾았다. 해방 후, 자주적인 정부의 수립은 우리 민족의 최우선적인 과제였다. 그에 따라, 친일파 청산은 한반도의 필연적 과제로 대두되었고 당시 사회에서는 그를 위한 움직임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움직임도 잠시, 다시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본의 빈자리를 미국이 차지한 것이다.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이었다. 또...2024.10.18
-
졸업논문2024.09.251. 여순사건과 국가보안법 1.1. 머리말 1948년 여순사건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 국가보안법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당시 대한민국 국회와 정부의 정치상황을 당시 행해졌던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 여순사건이 국가보안법 제정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국가보안법이 '민주주의'에 어떤 정치적 의미를 가지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국가보안법은 반민주적, 반헌법적인 성격을 띄고 있으며, 이승만의 정치적 이익에 부합할 것 이라는 인식이 대다수였다. 본 논문은 국가보안법 제정 당시 사회의 정치적인 분위기 및 각 세력 ...2024.09.25
-
한국 헌법 정당 변천2024.10.191. 대한민국 헌법 변천사 1.1. 제1공화국 헌법 1.1.1. 제헌헌법 제정경과 및 주요 내용 제헌헌법 제정경과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48년 5월 10일 UN 소총회의 결의에 따라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여기에서 선출된 19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제헌국회는 동년 6월 3일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하고 헌법제정작업에 착수하였다. 위원회에서는 유진오 헌법초안을 원안으로 하고, 권승렬 헌법초안을 참고안으로 하여 토의를 진행하였는데, 유진오안은 i) 정부형태로서 의 의원내각제, ii) 국회의 양원제, iii) 대법...2024.10.19
-
중앙대 한국사2024.10.22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의 등장과 활동 1.1.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등장배경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자주적인 정부 수립이 우리 민족의 최우선적인 과제였다. 그에 따라 친일파 청산은 한반도의 필연적 과제로 대두되었고, 당시 사회에서는 그를 위한 움직임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의 빈자리를 미국이 차지하면서 다시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당시 국민들은 미군정에 대하여 매우 회의적이었는데, 다시 한반도가 식민지배화 될 것이라는 우려에서였다. 이러한 수많은 우려와 반...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