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bppv2025.01.121. 서론 1.1.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러움의 정의 및 역학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러움은 신경이과학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어지러움의 원인이다.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러움은 머리나 몸의 위치를 바꿀 때 회전성 어지러움이 갑자기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일본에서는 10.7~17.3명/10만명, 미국에서는 64명/10만명, 한국에서는 전정신경염 다음으로 많은 어지러움의 원인질환으로 보고되며 남녀 비는 1:1.6 내지 1:2로 여자가 많고 나이에 비례하여 발생빈도가 더 높아진다. 발병시의 나이는 원인불명인 경우는 50대에 ...2025.01.12
-
이석증 평형2025.03.121. 이석증의 이해 1.1. 이석증의 정의 및 특징 이석증은 어지럼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가장 흔한 귀 질환이다. 이석(귀의 돌가루)이 전정기관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으로 들어가서 자극하면 어지럼증이 발생한다. 몸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기울이면 전정기관 속 이석도 기울어지고, 소뇌에 전달되어 평형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어지럼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석증은 빙글빙글 도는 것 같은 느낌의 어지럼증이 수초에서 수분간 지속되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발작성 증상이 반복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석이 들어가 있는 반고리...2025.03.12
-
BPPV 양성 발작성 현훈증 이석증 사례보고서2025.03.221. BPPV(양성 발작성 현훈증) 개요 1.1. BPPV의 정의 BPPV는 내이의 반고리관에 발생한 이동성 결석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어지럼증이다. 특정 체위에서 현훈과 안구진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임상에서 가장 흔한 어지럼증 중 하나로, 수 초에서 1분 미만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짧은 회전성 어지럼증이 일정한 자세의 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유발된다. 증상으로 현훈, 안구진탕, 심한 구역, 구토, 실신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체위 변동 시마다 아주 짧게(1분 이하)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BPPV는 한번 발생하면 보통 수...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