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고전 애정소설 유형2024.10.301. 고전소설의 개요 1.1. 고전소설의 개념과 범위 고전소설은 조선조 말까지 나온 우리나라 소설을 말한다. 그 시대적 범위는 15세기 초(조선조 초기)에서 19세기 말, 20세기 초(조선조 말기)에 창작된 작품들이 대부분이며, 대부분의 작품이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에 등장한다. 고전소설에는 국문소설과 한문소설이 모두 포함되며, 그 분량도 한두 장의 단편부터 100책 이상의 장편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소설 장르로서의 특징이 뚜렷한 단행본부터 설화, 야담, 전, 실기 등과 구별하기 어려운 잡서나 문집 속의 작품까지 포함된다. ...2024.10.30
-
글씨체의 유통 방식2024.09.111. 고소설의 이본(異本) 1.1. 고소설의 이본의 개념 고소설의 이본(異本)이란 고소설 작품을 전사하거나 방각본, 활자본으로 간행되는 과정에서 모본(母本)과 차이를 보이는 작품을 말한다. 고소설은 18세기 이전에는 인쇄술이 미약하여 필사(筆寫)에 의해 유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필사자는 모본을 그대로 베껴 쓰기도 하였지만, 다소 다르게 필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19세기에는 고소설의 독자 수가 증가하면서 방각본이 등장하였고, 20세기 초에는 납활자를 사용한 활자본이 등장하였다. 방각본이나 활자본은 대부분 모본을 그대로 간행하...2024.09.11
-
완판본 문학2025.05.151. 서론 1.1. 춘향전의 다양한 이본 춘향전은 한국인이라면 어린 시절부터 친숙하게 접해본 작품이며, 도서관에는 수십 권의 작품이 존재한다. 이들 작품은 출판사만 다른 것이 아니라 내용에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는 춘향전이 다양한 이본으로 전승되어 왔기 때문이다. 춘향전은 판소리극 사설을 토대로 하며, 사설을 기록하거나 개작하여 소설로 전승되어 왔다. 판소리극 사설은 시대별, 지역별, 개인별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가미하며 발전하였다. 또한 춘향전이 소설로 본격화되면서 작가의 문학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서술과 표현...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