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가시리 신아리랑 진달래꽃2024.09.111. 고려가요 '가시리' 1.1. 작품 개관 '가시리'는 고려 속요라 추정되는 작품으로, 전 4연의 분연체 형식을 취하고 있다. 기승전결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서정시이다. 가사가 애절하고 간결하여 순박한 정서가 두드러지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악장가사(樂章歌詞)》에는 전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1절만 수록되어 전해진다. 이 작품은 고려가요라는 확증은 없지만, 작품의 가풍(歌風)과 시정(詩情)으로 보아 고려 속요로 추정된다."" 1.2. 원문 해석 '가시리' 원문 해석은 다음과 같다. 가시...2024.09.11
-
가시리 신아리랑2024.09.111. 고려 속요(古麗俗謠) 1.1. 고려 속요란 무엇인가 고려 속요는 고려시대에 불렸던 우리말 노래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고려시가는 크게 경기체가와 속요로 구분되는데, 속요는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노래를 의미한다. 고려 속요는 신라시대의 향가로부터 이어진 서정적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려 속요라는 용어는 그 뜻이 모호하고 범주가 넓기 때문에 연구 초기부터 지금까지 개념 규정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시가 전체를 지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경기체가와 속요...2024.09.11
-
속요의 전반적 성격2024.09.141.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 1.1. 고려속요의 정의와 특징 고려속요는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의 시가 가운데서 경기체가, 향가, 시조, 가사 등의 유의 속하는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말 시가 작품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고려속요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속요는 구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상당수의 속요 작품들은 구전되어 오다가 문자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구전성은 원래 기록수단을 가지지 못했던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진 민요나 설화 등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속요가 구전성을 지녔다는...202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