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 한자어 특징2024.09.141.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자 사용 1.1. 한국어의 한자 사용 1.1.1. 한국어의 한자 특징과 역사 한국어의 한자 특징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언어로,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문자 표기는 한자였다. 그러나 한문의 유입 이후에 고유명사의 표기 등 한국어 표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단음절, 고립어였던 한자는 다음절, 교착어였던 한국어를 표기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자를 이용해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법인 이두, 구결, 향찰이 발생하였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2024.09.14
-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동안 한문으로 쓰여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후에 한글 문학이 주류를 이루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2024.09.231. 서론 한국에서 한자가 받아들여진 후, 보통 이두라 불리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이두, 향가, 향찰, 구결, 속자 등 다양한 방법이 불려졌다. 이두는 삼국시대에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한글을 표기하는 표기법으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에는 하급 관리들이 공문서나 공문서에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보통 이두를 넓은 의미로 차용해 음표로 표시한 한자를 통칭하는데, 현재의 일본어 역시 이두와 비슷한 개념의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이두는 신라 초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서동요, 제망매가 등 다양한 문학작품이 이두로 ...2024.09.23
-
한글맞춤법2024.10.08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 고대 국어와 향찰 고대 국어의 문자 체계는 향찰이었다.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부분은 한자의 뜻을, 문법적인 요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게 된다. 즉,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 중의 하나이다. 향찰은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이는 이두나 구결의 표기구조...2024.10.08
-
자음 체계의 변천2024.12.041. 언어의 변천과 표기법 1.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1. 향찰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의 한 방식이다. 향찰에서는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적지...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