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함수의 역사2024.11.121. 함수의 역사 및 고찰 1.1. 함수의 역사와 관련된 인물 라이프니츠는 "변량 X에 함수란, X에 관한 식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X와 Y를 분리한 후 그것을 X에 대한 식으로 바꾸었다. 수학에서 뉴턴과는 별도로 미적분학의 방법을 창안하였고, 물리학에서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예견했다. 또 지질학, 생물학, 역사학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그의 철학에 따르면, 세계는 무수히 많은 단일불가분(單一不可分)의 실체, 즉 능동적인 힘의 단위로서 자신 속에 전(全)우주를 표상하는 '우주의 거울'로서의 모나드로 구성된다"이다.오일러는 함수...2024.11.12
-
X-ray , CT, MRI, PET 적분공식2024.08.151. 서론 1.1. 의학기기와 수학의 관계 의학기기와 수학의 관계는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의학기기들이 수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인체 내부를 정밀하게 관찰하고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의료영상기기인 MRI, CT, PET 등에서는 삼각함수와 푸리에 변환 등의 수학적 기법이 핵심적으로 활용된다. MRI의 경우, 인체 내부의 수소원자가 전자기파에 반응하여 방출하는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삼각함수가 사용된다. 이를 통해 영상을 재구성하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뇌파 측정에서도 삼각함수와 푸리에 변환...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