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띄어쓰기2024.11.091. 한국어 정서법의 이해 1.1. 조사의 띄어쓰기 1.1.1.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에 붙어 그 말의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체언으로 하여금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이/가', '께서', '에서', '서', 서술격조사 '이다', 목적격조사 '을/를', 보격조사 '이/가', 관형격조사 '의', 부사격조사 '에/에서/로/로써/과/라고/고/같이', 호격조사 '아/야' 등이 있다""." 주격조사는 문장의 주어를 표시하며, 서술격조사 '이다'는 본래 조사가 아...2024.11.09
-
한국어표현교육론- 학습자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말해보시오2025.01.091. 서론 한국어는 그 독특한 문법 체계와 표현 방식으로 인해 학습자에게 도전을 제공한다. 특히 문법 표현의 이해는 한국어 능력의 핵심이다. 문법 표현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의사소통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 과제에서는 한국어 문법의 여러 문법 표현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문법 표현의 선택은 다양한 범주에서 이루어지며, 이들 중 일부는 부정 표현이나 사동 표현과...2025.01.09
-
표준중세국어문법론2025.04.131. 서론 1.1. 표준중세국어문법론의 개요 중세국어의 체언과 조사, 대명사와 수사, 복수표시법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는 시기가 표준중세국어이다. 체언에는 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등의 유형이 있고, 대명사에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있다. 또한 복수표시법에서는 중세국어의 고유한 특징들이 발견되는데, 겸사말과 공대말의 복수 표현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통해 당시 국어의 문법적 체계와 언어 사용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1.2. 국어의 체언과 조사 명사는 사물의 이름을 표시하는 말로, 중세국어에서 '므스...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