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근대 의학2024.09.141. 의학의 발전과정 1.1. 근대의학의 발전 근대의학의 발전은 19세기 중엽 이후 기존의 지적 토대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이루어졌다. 이는 진단도구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는데, 신체적 증상의 진단이 더 이상 사변적 추론이 아닌 엄격하고 정밀한 관찰법에 의거하여 기록되고 판단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질병을 신체적 조화와 균형의 상실로 보기보다는 세포단위의 병리적 과정으로 보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의학과 과학화가 함께 진행되면서 이루어졌다. 세포병리현상, 실험적 방법과 내분비학 발전, 살균법 및 세균원...2024.09.14
-
현대인과 질병2024.11.191. 질병과 건강에 대한 생의학적 접근과 사회문화적 접근 1.1. 생의학적 접근 전통적으로 의학은 신체 기능과 질병에 대한 생물학적 이론에 치중하여 연구 및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때 의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적 방법이 바로 생의학적 접근 방식의 모형(biomedical model)이다. 생의학적 접근에 따른 의학적 접근의 특성은 건강과 질병의 판단이 절대적 기준에 의존하고, 특정 생리학적, 심리학적 증세에 따라 판단하며, 판단 주체는 의사, 간호사 등의 전문 의료인이고, 판단 도구는 진단이다. 생의학적 접근은 다음과 같은 세 가...2024.11.19